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커스사이언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보내는 최소한 세 가지 감각기의 합작품이라는데 있다.첫번째 감각기는 귀 안쪽에
자리
잡고 있는 전정계다. 이것은 머리 위치에서 빠르고 작은 변화를 민감하게 알아차린다. 고개를 갸우뚱하거나 머리를 휘휘 돌리면, 귀속에 있는 작고 예민한 털이 슬쩍 쏠리면서 전정핵이라 불리는 뇌간(腦幹 ... ...
한반도공룡파노라마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국보 147호로 지정된 천전리 각석이다. 공룡발자국까지 치면 1억년 동안의 낙서가 한
자리
에 모인 셈이다.사연호쪽으로 골짜기를 벗어나면 천전리 각석과 비슷한 암각화가 그려진 반구대가 있다. 하지만 “반구대는 평소 물에 잠겨 겨울밖에 볼 수 없다”고 각석을 관리하는 박장국(79세)씨는 말한다. ... ...
금세기 최고의 우주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만남’이라는 금세기 최초의 대장관이 펼쳐진다. 태양이 사라지면 헤일-밥혜성은 백조
자리
옆에서 그 아름다운 모습을 나타낼 것이다. 그래서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황량한 동토는 전세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 때문에 벌써부터 북적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천문대 연구원과 열성 아마추어천문가들이 ... ...
Ⅱ. 부드러운 장기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사람으로부터 췌장세포를 떼내 배양기에서 기른 인공췌장을 만들고 있다ㅏ. 이 경우 췌장
자리
가 아니더라도 몸의 아무 곳에서나 인공췌장을 투여하면 기능 발휘에 별 문제가 없다. 예를 들어 배양한 췌장세포를 직접 복강 내에 주입하면 췌장세포는 몸 속을 돌며 체내상황에 맞게 인슐린을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심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대동맥, 그리고 폐동맥(심장에서 폐로 혈액을 내보내는 혈관) 부위를 잘라낸 뒤 그
자리
에 부착시켜 자연심장의 기능을 완전히 대체하려는 목적이다.완전이식형 인공심장이 최초로 사람에게 사용된 것은 1982년의 일이다. 미국인 치과의사 클라크에게 이식돼 생명을 1백12일 동안 유지시켰다. 1985년 ... ...
일본 규슈 화산지형 탐사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S파는 유체와 만나면 소멸되는데, S파가 없어지면 P파도 점차 약해진다.아소산 아래에
자리
잡고 있는 아소 칼데라 하부의 마그마가, 필리핀판의 섭입과 관련해 발생하는 지진파 중 S파를 흡수해버리기 때문에 후쿠오카에는 지진이 일어나지 않는다. 가끔씩 일어나는 지진은 필리핀판이 아닌 ... ...
Ⅰ. 전자가 이룩한 4대 혁명 : 4. 정보전자의 시대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정보 전자’라는 말이 새롭게 생겨날 정도다.가전제품이 정보화돼 전통적인 가전의
자리
를 위협하고 있다. 컬러TV, VCR, 캠코더, 카메라, 오디오 등 아날로그 중심의 AV제품들이 디지털 방식으로 바뀌면서 정보가전이 안방으로 밀려들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 ...
히틀러 벙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양말단 부위다 염색체의 구조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산식물인 담
자리
꽃은 지난 빙하기 때 백두산 지역까지 남하해 서식하다가 지구가 더워지면서 서서히 높은 고도로 밀려나 지금은 백두산 정상부근에만 서식하고 있다 계속해서 지구가 더워지면 이 꽃은 더욱 높은 고도로 ... ...
Ⅰ. 전자가 이룩한 4대 혁명 : 1. 전자시대 최대의 발명품 TV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브라운관 이후의 영상혁명발명된지 1백년에 지난 오늘날에도 브라운관은 여전히 제왕
자리
를 굳게 지키고 있다. 아직까지는 화질면에서 브라운관을 따라 잡는 것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하지만 브라운관은 덩치가 크고 소비전력이 많다는 점에서 현대생활과 맞지 않는다. 현대생활은 이동성을 ... ...
"나 스트레스 받았어요"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흙입자와 결합한다. 수소이온농도가 높은 산성비가 내리면 양분은 떨어져 나가고 그
자리
를 수소이온이 차지해버린다. 결과적으로 땅 속에 양분은 없어지고 수소이온만 남게 된다.만일 한두 그루에서만 이런 상황이 벌어진다면 다행이지만 범위가 확대되면 그 지역의 생태계가 조만간 사라질 ... ...
이전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