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밝은 별인 알데바란이다. 겉보기등급 0.9 등급의 알데바란은 하늘의 별 중에서 13번째,
우리나라
에서 볼 수 있는 별 중에서 9번째로 밝은 별이다.별들의 지도자 알데바란알데바란은 아라비아어로 ‘뒤따라오는 자’라는 뜻이다. 알데바란이 뒤쫓는 천체는 알데바란보다 약간 서쪽에 떨어져 있는 ... ...
슈퍼독감의 조상, 조류인플루엔자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이미 6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2006년까지 전세계 260명이 감염됐고 155명이 사망했다.
우리나라
에서 발병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없다고 예외일 수는 없다. 무서운 점은 조류인플루엔자가 수천, 수억 명의 목숨을 앗아갈지도 모르는 바이러스성 대량학살인 ‘판데믹’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이다 ... ...
썰렁홈즈가 보낸 마지막 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있었다. 과연 썰렁홈즈는 어느 도에 있는 걸까? 감자와 옥수수로 유명한 강원도? 아니면
우리나라
가장 아래에 있는 제주도? 아니면 아무도 모르는 새로운 곳인가?“우리는 그저 앞에서만 바라보았지. 살다 보면 앞에서만 보는 게 아니라 아래나 옆, 위에서처럼 다른 방향으로 볼 줄 알아야 해 ... ...
MIGAC CHRISTMAS! 매직 크리스마스 3개의 선물 상자를 열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지금의 곡예와 비슷하지? 실제로 마술이 시작될 때는 곡예의 하나로 공연되기도 했어.
우리나라
도 삼국시대 부터 항아리에 몸을 숨기는 마술을 했다고 전해져. 그런데 서양의 중세시대 때는 마술이 나쁜악마의 술수로 오해를 받았어. 하지만1800년대 이후에는 영국 왕실에서 마술 공연이 열리는 등 ... ...
어과동이 선정한 2006 최고의 과학발명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전 세계에서 수많은 발명품들이 쏟아진다. 2005년 한 해
우리나라
에서 특허를 받은 발명품만 해도 73512개다. 2006년에도 어김없이 수많은 발명품들이 세상에 나왔다.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게 해 주는 발명품들이 많이 나오는 것은 반가운 일. 하지만 그 속에서 정말 기발하고 독창적인 과학발명품을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생물다양성보전에 대한 관심이 커졌고 각국은‘생물다양성협약’에 서명하기 시작했지.
우리나라
는 1994년 10월 3일에 공식 가입했단다. 이외에도 멸종위기에 놓인 야생 동물과 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이주성 야생동물의 종 보전에 관한 협약, 습지를 보호하자는 내용의 람사협약, 야생 ... ...
빨간 피의 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단순히 ABO식으로만 구분할 수 없다. Rh-형 혈액형은 백인들에게는 흔한 편이지만
우리나라
에서는 1000명 중 1~3명 꼴로 보기 힘든 혈액형이다. 희귀하지만 정상이므로 걱정할 필요는 전혀 없다. 다만 Rh+형 혈액을 수혈할 수 없기 때문에 사고에 대비하여 Rh-형 혈액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에 가입해 두는 ... ...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개발중인 모바일 기술은 무엇인가요?이동통신연구단은 1996년 CDMA 시스템을 개발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80% 이상이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동 중에도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초고속무선휴대인터넷을 개발했습니다. 덕분에 현재 등하교 시간의 버스나 지하철 안에서도 인터넷을 즐길 수 있게 ... ...
별을 보며 꿈과 희망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열렸던 견우직녀★과학축제는 내년 전국행사로 확대되어 어린이들을 맞이할 것입니다.
우리나라
어린이들 모두가 우주를 사랑하는 그 날까지 한국천문연구원은 노력할 것입니다 ... ...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서비스 로봇은 바로 할머니를 닮은 로봇이랍니다.”(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
우리나라
에서 휴머노이드를 처음 개발하기 시작한 것은 2002년이다.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는 휴머노이드 KHR-1과 KHR-2를 차례로 만든 뒤 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2004년 12월 휴보를 탄생시켰다. 41개의 ... ...
이전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