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체에서 ‘오른손 분자’도 중요
과학동아
l
200910
분자, 즉 L-아미노산으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생명체는 왼손잡이라고 불리고는 했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매튜 왈더 교수팀은 박테리아의 세포벽 구조가 주변 상황에 따라 바뀌는 현상에 주목했다. 즉 영양이 풍부해 세포증식에 유리한 조건에서는 세포벽도 유연하고 환경이 열악할 때는 세포벽이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10
연구를 통해 새로운 익룡으로 밝혀지면 신종으로 등재할 계획이다.임종덕 학예연구관은
미국
캔자스대에서 척추고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BK21교수를 거쳐 2006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에 재직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공룡화석산지와 ... ...
사회기반시설 '평생 주치의'는 정보기술
과학동아
l
200910
화되면서 하나둘 문제가 생기기 시작하기 때문이다.미래 도시‘U-시티’구현하려면“
미국
의 경우 토목관련 예산의 70~80%가 시설의 유지보수에 배정됩니다. 우리나라도 10년만 지나면 비슷한 상황이 올 겁니다.”사람도 젊을 때는 몸 관리를 제대로 안 해도 별 문제가 없다가 나이가 들면서 문제가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10
이웃 세포들에 의해 조절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003년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SD) 루드비히 암연구센터의 돈 클리블랜드 박사팀은 운동신경세포와 이웃한 세포들이 운동신경세포 사멸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게재했다.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10
학사 1994년 서울대 미생물학 석사 1994년~1998년 영국 옥스퍼드대 생화학 박사 1999년~2001년
미국
펜실베니아대 RNA대사연구실 박사후연구원 2001년~현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2007년~현재 교육과학기술부 마이크로RNA창의연구단 단장 한 번만 들어도 기억이 날 만큼 특이한 이름 덕분에 인생에 있어서 ... ...
War between GOOGLE vs. MS
과학동아
l
200910
완전히 새롭게 개선시키는 작업이었다. 이런 지속적인 개선이 효과를 보고 있다. (
미국
기준으로) 웹에서 검색의 3분의 2는 구글을 통해 이뤄진다. 야후!는 20% 미만, MS는 10%정도의 시장점유율을 가진다. MS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재 구글이 충분히 잘 작동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
신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
과학동아
l
200910
고스란히 보존하고 있어 학술적인 가치도 높다.신 세계 자연경관 최종 후보에 오른
미국
의 그랜드캐니언이나 캐나다의 펀디 만(호프웰록스)처럼 물이 깎아 놓은 조각품을 보면 자연에 대한 경이로움과 함께 두려움마저 든다. 물이 바위를 뚫는다는 사실을 믿지 못하겠다면 앙헬 폭포와 이구아수 ... ...
속 보이는 사진 속 예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10
작품들이 전시된다. 여기서 발상의 전환이 담긴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정태섭 교수는
미국
펜실베니아대에서 자기공명뇌동맥혈관법으로 박사학위를 바은 뒤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 영상의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주전공인 방사선학을 이용해 엑스레이아트라는 새로운 예술 장르를 개척한 그는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10
있다. 그럼에도 이미 스마트 그리드는 가전제품 업계의 중요한 테마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최대의 가전회사 월풀은 지난 5월 스마트 그리드와 연계되는 제품을 2015년까지 내놓겠다고 발표했다. 다른 가전회사들도 이 같은 대열에 동참할 가능성이 높아 스마트 그리드의 현실화는 더욱 바짝 다가오게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10
느껴 졸업 작품으로 전자음악을 만들었고 결국 전자음악에 대해 깊이 공부하기 위해
미국
보스턴대에서 석사를 했다.그의 희망은 전자음악에서 멈추지 않았다. 이 교수는 스탠퍼드대 안에 있는 컴퓨터음악음향연구소(CCRMA)에서 공부했는데, 전자과 출신과 음대 출신이 모여 있는 곳이었다. 그들은 ... ...
이전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