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496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구강나이는 OO살입니다' 국내 첫 치과종합검진센터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인터넷이나 전화 예약이 모두 가능하며 검진하는 데 40분~1시간 정도 걸린다. 동적구강
기능
검사(MMS) 결과, 턱근육의 강도 등이 스크린에 그래프 형태로 나타난다. 경희대치과병원 ... ...
DNA 손상되면 출동하는 단백질 확인
과학동아
l
2019.04.29
펠리노1은 체내 면역 기작과 암 유발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됐지만 정확한
기능
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쥐의 세포에 방사선을 쪼여 DNA 손상을 유발하면 이 부위에 펠리노1이 집중적으로 모이는 현상을 발견했다. 손상 부위로 모인 펠리노1에 의한 변화를 추적한 결과 펠리노1이 ... ...
시각장애인도 뇌 시각 영역 활용해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소리를 듣는 동안 연구팀은 뇌의 혈류량을 측정해 뇌의 활성화 정도를 파악하는
기능
적 자기공명영상(fMRI) 장비로 피실험자의 뇌 활동을 기록했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같은 음을 들어도 비장애인보다 주파수를 더 정확하게 추려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시각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뇌에서 ... ...
출연연 만나 잘 나가는 중소기업 35곳의 성공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결국 공동연구 덕분에 항노화 과정과 원리를 확인한 제이케이랩은 관련 특허를 출원하고
기능
성 제품을 개발 중이다. 2017년 설립된 신생기업인 테라테크노스는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배터리의 음극재를 개발했다. 테라테크노스는 이 기술로 미국 최대 기술사업화 컨퍼런스인 ‘테크 ... ...
SF가 현실로… 인공뇌가 ‘의식’을 갖는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신경신호도 발생했다. 하지만 연구팀은 “뇌세포 일부가 활성화됐을 뿐 뇌 자체의
기능
이 되살아난 것은 아니고 의식 같은 고차원적인 뇌 활동은 없었다”며 과도한 의미 부여를 경계했다. 뇌의 연구가 늘어나면서 윤리적 판단이 필요한 사례도 점차 늘고 있다. 이달 25일 미국 연구팀이 뇌 안에 ... ...
스트레스 받을 때 폭식하는 건 인슐린 탓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스트레스를 받으면 폭식하게 되는 이유가 높아진 혈중 인슐린 수치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해야 할 일이 산더 ...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면서 "이외에도 인슐린이 뇌의 어느 다른 영역에 작용해
기능
을 조절할 수 있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전기연-한전, '스마트변전소' 개발 MOU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항법위성시스템(GNSS)인 글로벌위치확인시스템(GPS)의 시간 정보에 정확히 맞추는
기능
(고정밀 시각동기화)도 가능하다. 전문가들은 고가용성 이중화 통신장치가 안정적인 광역 전력망 구성에 크게 기여하고, 나아가 스마트변전소 시대를 앞당길 핵심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유전체 표준’ 세계 두 번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얻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후 이렇게 해독한 정보가 표준으로
기능
할 수 있는지를 세 단계에 걸쳐 검증했다. 먼저 현존하는 세계 유일의 유전체 표준인 미국표준연구소(NIST)의 서양인 유전체 표준과 비교해 99.9% 맞다는 사실을 확인 받았다. 이어 국내 유전체 해독 기업의 해독 ... ...
기능
성 촉매 성능 높일 금속나노 입자 제어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GIST 박사과정생도 제1저자로 연구에 참여했다. GIST 제공 연료전지와 가스센서에 쓰이는
기능
성 촉매 소자의 내구성과 성능을 높일 금속 나노 입자의 크기와 밀도, 분포를 제어할 수 있는 원리가 밝혀졌다. 김봉중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정우철 KA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 ...
에너지 생산하고 터치 감지하는 투명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투명도도 높였다. 터치 선세를 상층부 에너지 저장패널 바로 아래에 추가해 터치
기능
도 가능하게 했다. 터치센서와 에너지 센서 사이에는 투명도를 높이고자 반고체 전해질을 담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매트를 분리막으로 썼다. 그 결과 풍경과 글자가 선명하게 보일 정도로 투명한 77.4%의 ... ...
이전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