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진"(으)로 총 5,314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주 26일 여행기 (캐언즈 편)기사 l20180126
- 가장 많은 보테닉 가든이다. 위 사진들은 케언즈 보테닉 가든에 있는 신기한 식물들이다. 케언즈 보테닉 가든의 모습이다. 이 사진을 보면 보테닉 가든이 열대우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네 번째 관광지는 케언즈 보테닉 가든 프레쉬워터 레이크 옆에 있는 [네이처 플레이] 라는 놀이터다. 이 놀이터도 피크트리 놀이터와 마찬가지로 나무 ...
- 한파와 블로킹, 그리고 북극은 친구?기사 l20180125
- 기온이 올라가면 이 제트기류는 힘을 잃고 뱀이나 풀어진 리본 처럼 구불구불한 형태로 약하게 부는바람을 말하는데요. 이렇게 약해진 제트기류를 틈타 북반구 중위도 곳곳에 북극에 한기가 내려오게 됩니다. 그래서 이렇게 추운것이라고 하네요. 2. 오들오들 왜이렇게 춥지? 바로 블로킹 때문이야! 이번 한파의 또다른 원인은 '블로킹' 입니 ...
- 정수민 기자님^^-Hot 이벤트포스팅 l20180123
- 어과동 캐릭터 그림이에요~그림자 진 것은 죄송해요.ㅠㅠ다른 이벤트는 다 완료했습니다~ ...
- 코카서스왕장수풍뎅이의 힘!기사 l20180123
- 몸길이 60mm-140mm이고 사는 곳은 나무 위, 마른 잎입니다. 분류는 딱정벌레목-풍뎅이과-청동장수풍뎅이속입니다. 먹이는 나뭇진과 익은 과일입니다. 사는 곳은 수마트라섬과 미얀마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코카서스왕장수풍뎅이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전 늠름한 3개의 뿔이 생각납니다. 겉모습은 아틀란티스장수풍뎅이와 닮았지만 아틀란티스장수풍뎅이 ...
- 호주 26일 여행기 (골드코스트 편)기사 l20180122
- 파도가 가장 세게 치고 휘몰아치는 파도가 많아진다. 이 버레이헤즈 비치의 모래 색깔은 하얀색이다. 하얀색 모래가 있다는 것만 해도 진짜 신기하다. 두 번째 관광지는 엘리자베스 브로드비치다. 거기도 버레이 헤즈 비치만큼 파도가 세게 친다. 서핑하기 좋은 장소고, 모래의 색깔은 약간 살색이다. 거기에서도 서핑을 했다. 나는 버레이 ...
- 남자도 여자도 아닌 성이 있다고?기사 l20180122
- 여자로 표기를 해야 할까요? 정답은 본인의 선택입니다. 보통은 겉모습 때문에 남자로 표기 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은 숨겨진 여성의 생식기를 발견 하지 못하였을 때도 그렇게 표기하곤 합니다. 실제로 이런 사례는 우리나라는 물론 다른 나라에도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출생 신고서에 인터섹슈얼이라는 성은 없습니다. 하지만 외국 중에 2 ...
- 보석-호박2부기사 l20180121
- 안녕하세요? 정하 기자입니다. 저의 전 글에(호박1부) 많은 분들이 댓글을 달아 주셨는데, 그 기대만큼 내용이 않 나올 수도 있어요. 그래도! 재미있게 봐 주세용~!! 호박은 약 40,000,000~60,000,000년 전에 제삼하층기 시대 동안 소나무 ... 느슨해진 피부세포 미토콘트리아 보호 및 기능 강화 피부를 맑고 투명하게 건강하 ...
- 미세먼지! 어떻게 해결할까요?기사 l20180119
- 천식과 호흡 곤란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미세오염 물질로 바뀐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또 우리나라가 미세먼지 연구 분야에 선진국인 것도 알게 되었죠. 그리고 열심히 연구해 주시는 박사님들께 감사하는 마음도 갖게 되었습니다. 이분들의 연구 덕분에 우리의 환경이 매일 조금씩 개선된다고 생각하니 자랑스럽기도 했어요. 정말 뜻 깊고 보람 있는 시간이었 ...
- 나의 매력적인 도마뱀, 크레스티드 게코기사 l20180114
- 매우 중요합니다. (사육통에 왜 물을 뿌려줘야 하는지 몰랐는데 습도조절을 위한 것도 있겠지만, 나중에 보니 사육통에 뿌려진 이슬을 핥아먹으며 수분을 보충하였다.) 파충류샵 선생님이 파충류는 외로움을 잘 타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강아지와 달리 혼자 살아도 외로워서 우울증에 걸리지는 않는다고 한다. 오히려 만지거나 데리고 노는 것을 ...
- 경복궁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180114
- 395년에 지어진 경복궁은 도성의 북쪽에 있다하여서 북궐이라고 불러지기도 했습니다. 경복궁은 조선왕조의 건립에 따라 창건되어 초기에 정궁으로 쓰였지만 임진왜란 때 전소된 후 오랫동안 폐허로 남아있다가 조선 말기 고종 때 중건되어 잠시 궁궐로 이용되었습니다. 경복궁은 이렇게 1395년에 지었던 경복궁이 만약 불태워지고 재건축을 안 ...
이전4334344354364374384394404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