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화·환원 이용한 음주측정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알코올로 실험하다보면 술을 마신 게 아니냐는 오해를 받을 수 있다. 이럴 때 음주측정기가 있다면 아니라는 사실을 쉽게 보여줄 수 있다. 실험실에서 음주 ... 음주측정기를 만들었다. 이를 갖고 학교에 남아있는 친구들의 음주 여부를 가려내는데
성공
해 과학반 친구들의 누명을 벗겼다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수mK(밀리캘빈)의 극저온에서 구동되고 있다. 단전자 트랜지스터가 상업화에
성공
하려면 실온에서 작동가능하도록 발전돼야 한다. 이외에도 해결해야 문제가 산재해 있다.나노 전자혁명 주도권 경쟁또다른 대표적인 나노소자인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는 1-10nm 두께의 대롱모양인 탄소나노튜브를 ... ...
골프공이 포물선을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포물선 골프“난 골프의 천재인가 봐! 한번도 쳐본 적이 없는데, 공을 홀로 넣는데
성공
했어.”“정말 신기한데. 나도 한번 해볼까. 와! 내가 친 공도 홀로 들어갔잖아.”“어떻게 공이 매번 저렇게 잘 들어갈까? 골프공과 구멍이 자석으로 돼 있어서 서로 끌어당기는 게 아닐까.”실내 골프연습대 ... ...
자신의 세포 이용해 장기 만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내에서 다른 세포로 변화하는 현상이 확인되지 않아 실용성을 의심받았다. 이번 실험의
성공
으로 성체줄기세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 ...
레이저로 소형 비행기 날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야베 연구팀은 질량이 0.1-0.2g, 크기가 수cm인 소형 비행체를 레이저로 이륙시키는데
성공
했다. 이 비행기는 초속 1.4m로 멋지게 공중을 날았다.레이저 추진 비행체에 대한 아이디어는 1972년 미국인 기술자 아서 칸트로위즈가 처음으로 제안했는데, 야베 교수팀의 이번 연구결과는 이 아이디어를 실제로 ... ...
Ⅰ 키워드로 풀어본 월드컵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골키퍼의 선방에 막혔다. 스코어 4대3. 한국의 마지막 키커 홍명보 선수. 침착하게 골을
성공
시키며 경기를 끝냈다. 골키퍼의 능력만큼 마지막 키커의 부담이나 중요성이 크다는 점을 보여준 결과였다.6 골대 - 수mm 차이로 희비 엇갈려이번 월드컵대회의 최대 이변은 전대회 우승국 프랑스가 16강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없는 숙명을 타고난다. 그들의 목적은 더이상 부귀영화가 아니다.슈퍼 히어로 시리즈의
성공
여부는 악당에 달려있다고 한다. 슈퍼히어로는 일정 수준의 틀을 벗어날 수 없다. 슈퍼 히어로로 태어난 이상 용감하고 정의로워야 하며 법의 심판에 악당들을 넘겨야 한다. 그러나 악당에 있어서는 기존의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검사 항목에 대해 임상에서 요구되는 정확도를 충족시킬 정도로 농도를 추정하는데
성공
했다. 앞으로 직장이나 학교에서 건강검진 시 생체분광학이 생화학검사를 대체할 날을 기대해본다 ... ...
바다로 내려간 고래의
성공
비결은 귀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전 돌연 바다로 생활터전을 옮겨 과학자들의 관심사가 돼왔다. 최근 고래가 바다 생활에
성공
한 비결이 귀의 변화 때문이라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네이처’ 5월 9일자에 발표됐다.런던 유니버시티칼리지의 고생물학자 프레드 스푸어의 연구팀은 고래의 귀 속에 있는 반고리관을 주목했다. ... ...
연료전지 실용화하는 얇은 막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성공
했다. 그리고 고분자 박막에서의 복잡한 이온 이동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성공
했다. 수 ng의 변화를 측정하는 나노과학의 기본 도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이외에도 전기화학연구실에서 거둔 연구성과는 한두가지가 아니다. 곽주현 교수를 중심으로 자연과학의 입장에서 새로운 ... ...
이전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