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에 보는 천체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1.5도 북쪽으로 작고 희미한 가스가 3개로 갈라진 꽃잎같이 보이는 발광성운 M20이 있다.
끝
이 셋으로 갈라졌다고 해서 TRIFID(삼렬)라는 이름이 붙었다. 8인치 망원경이면 두 성운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어두운 선들과 별무리들을 사진과 비슷하게 볼 수 있다. M20에서 위로 징검다리처럼 이어진 작은 ... ...
5. 산꼭대기에 묻힌 노아의 방주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열고 비둘기와 참새, 큰 까마귀를 날려보냈다. 어느날 큰 까마귀가 돌아오지 않자 홍수가
끝
난 것을 알고 배에서 내려 제일 먼저 신들에게 제물을 바쳤다.우트나피수팀이 홍수를 일으킨 신들을 원망하지 않고 공경하자 이에 감명 받은 신들은 홍수의 결과에 대해 토론했다. 결론은 “두번 다시 ... ...
③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우주공간에 존재할지도 모를 다른 행성계 혹은 다른 생명체에 대한 인류의 호기심은
끝
이 없다. 최근까지도 이런 문제는 간접적인 추정에 머물러왔지만, 지상관측기술 및 우주과학의 발전으로 이제는 직접 그 해답을 찾는 시대가 오고 있다. 21세기가 되면 본격적인 해답들이 우리에게 쏟아져 나올 ... ...
신경계의 과학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2. 위의 시작 부분에서 시간을 측정하는 사람은 오른 손에 초시계를 를 든다. 3. 원의 맨
끝
에 있는 사람은 입에 호루라기를 문다.4. 시작하는 사람이 왼쪽 사람의 손을 누른다. 이 때 초시계도 동시에 작동시킨다.5. 신호를 계속해 전달, 전달 한다.6. 호루라기를 문 사람은 자극을 전달받는 순간 ... ...
전갈이 뜨면 오리온은 지고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서울에서는 이번 성식의 북방한계선 바로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알데바란이 달의
끝
에 가까스로 가려지면서 사라진다. 한편 이번 성식의 북방 한계선에 놓인 의정부, 일산, 김포, 인천 영종도를 잇는 선상의 지역에서는 알데바란이 달에 가리지 않고 스쳐 지나는 아주 보기 드문 접식이 일어난다 ... ...
밤하늘을 여는 창 망원경 만들기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붙인다. 이 원통형의 마분지 속에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두 번째 마분지를 말고 한 쪽
끝
은 스티로폼에 둥글게 구멍을 내 루페를 끼운다. 두 마분지 대롱을 연결하면 망원경이 완성된다. 멀리 있는 물체의 모양이 선명해질 때까지 루페가 부착된 통을 넣었다 뺐다 하면서 망원경의 초점을 맞추어 ... ...
용가리와 고질라에 숨은 뜻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알게 된다. 그래서 자신들에게 숨겨진 적대감과 증오가 괴물을 만들어내 서로를 죽인
끝
에 멸망하고 말았던 것이다. 혼자 남은 과학자도 그런 식으로 동료들을 모두 죽였다 ... ...
번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벼락이 떨어지더라도 송전선에는 번개로 인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돼 있다. 특히 피뢰침
끝
에서 60도 안쪽은 벼락을 피할 수 있다고 해 이 각도를 보호각이라고 한다. 그러나 번개가 치는 곳에는 가까이 있지 않는 것이 제일 안전하다.벼락 피하기가끔 신문지상을 통해 골프장에서 벼락을 맞고 사망한 ... ...
3. 승리를 제조하는 첨단기술 축구공·축구화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표면에는 폴리우레탄 코팅처리를 해 공이 닿을 때의 감촉이 발에 잘 전달되도록 했다. 징
끝
을 스텐레스 스틸로 처리해서 더욱 견고하게 하고 미끄럼을 방지했으며, 징과 스파이크 부착면이 양옆으로 넓게 퍼지도록 해 지면의 충격을 바닥판 전체로 분산되도록 했다. 농구화의 에어 붐을 일으켰던 줌 ... ...
맛과 냄새의 조화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존재하는 약 1-2㎟넓이의 후각상피(嗅覺上皮)에서 인식된다. 이곳에 있는 후각세포의
끝
에는 후각섬모가 존재하고 여기에 있는 냄새수용체에 의해 냄새 성분이 분류된다. 냄새는 맛에 비해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느낄 수 있다. 사람은 약 1만여종의 다른 냄새 성분을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 ...
이전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