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5,158건 검색되었습니다.
4.7종의 기체가 대기를 울린다
과학동아
l
199108
이 자료만으로는 지구온난화를 조사하기 어렵다. 반면 미국 하와이의 마우나로아에
위치
한 대기기체관측소에서는 인간활동이 거의 미치지 않은 최후의 지역에서 과연 얼마만큼 대기성분이 변했는가를 조사하고 있다.지구대기 변화의 발원지를 한국과 같은 개발도상국의 책임으로 돌리려는 ... ...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08
인공위성에 감지된 것이다. 백조자리 X-1은 지구로부터 대략 8천광년 거리에 있으며 그
위치
는 백조자리의 에타(η)별에서 좌측으로 약 0.5˚(보름달 정도 크기) 만큼 떨어진 곳이다. 거꾸로 붙인 이름밤하늘에서 가장 귀엽고 예쁜 별자리를 찾는다면 단연코 여름 하늘의 돌고래자리다. 전부 4등급의 ... ...
불볕 더위와 장마를 배후조종
과학동아
l
199108
기온이 하강한다. 고도 20km를 넘어 성층권에 진입하면 반대로 기온은 상승한다. 이곳에
위치
한 오존층이 태양으로부터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고도 50km에서 3℃ 정도로 극대에 달한 기온은 중간층에 들어서면서 다시 하강한다. 고도 80km에서 -93℃로 가장 낮은 온도를 기록한다. 대기의 온도는 ... ...
토성의 테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08
매우 특이한 것으로 밝혀졌다.제트발사연구소의 찰스 요더씨는 토성의 가장 안쪽에
위치
한 위성들인 야누스와 에피메테우스를 연구해 왔다. 이 위성들은 토성을 둘러싼 테의 바로 안쪽 부분에 있으며 지구에서 테의 모서리를 볼 수 있었던 지난 1966년까지는 발견되지 않았다.야누스와 ... ...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108
분야에서 아마추어로 남기를 고집한다. 이미 백신프로그램개발에 있어서 독보적인
위치
에 있으면서도 전공을 바꾼다든가 이를 상품화해 사업을 시작한다든가 하는 구상이 전혀 없다. 그는 올해초 박사과정을 마치고 3년간의 군복무에 들어갔다. 컴퓨터바이러스를 퇴치하는 히포크라테스 정신의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08
지진과 화산활동이 매우 활발하다.태평양 연안의 지진활동을 연구하던 학자들은 진원의
위치
가 해구에서 대륙쪽으로 가면서 깊어져 가장 깊은 곳은 7백㎞에 이르며 마치 경사진 면을 따라 지진이 발생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시의 학자들은 이러한 진원의 분포가 무엇을 의미 ... ...
명왕성 Pluto
과학동아
l
199108
Pluto)라 명명됐다. 행성 X와 플루토이 행성이 비록 로웰이 예언한
위치
로부터 멀지않은
위치
에서 발견되기는 했지만 이것이 로웰이 예언했던 행성 X는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그 이유는 첫째 톰보우가 태양 주위 지구궤도면인 황도면을 따라 조직적인 탐사를 했고, 둘째 이 행성이 천왕성과 해왕성의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08
배열되어 있는 것에 만족할 수 없었다. 실제의 우주에서는 별들이 제각기 고유한
위치
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진짜 우주를 보게 될거야." 샘슨은 이렇게 맹세했다. 그는 자세한 성도(星圖)를 구해서 적도 상에서 밤하늘을 바라보는 모습과 똑같은 실제적인 별자리를 생성할 수 ...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08
지구는 그 변동주기중 어느
위치
에 놓여 있는가?45억년 전 지구가 태양계 내에 떠다니던 소행성(떠돌이 별)들과 수없이 부딪히면서 만들어질 때 그 충돌과 많은 화산활동으로 분출된 가스에 의해 지구 대기가 생성됐다. 따라서 태초의 대기 구성 성분은 지금의 성분과는 아주 다르다. 원시 대기의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08
용암을 분출했던 화구는 인공위성자료 및 기타 자료의 판독에 따르면 휴전선 이북에
위치
한 평강의 북쪽에 있는 압산이라고 추측된다. 압산이 모두 몇 차례나 폭발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용암은 최소한 여섯차례 이상 흘러 내렸다.이러한 용암대지의 형성과 고고학 유적의 형성은 어떤 관계가 ... ...
이전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