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력
원조
협조
보조
후원
지원
제휴
d라이브러리
"
도움
"(으)로 총 5,29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인터넷 엑스포 운영위원장 전길남박사
과학동아
l
199603
대부분의 인물, 이를테면 아이네트기술의 허진호박사나 정철박사 등이 그의 가르침과
도움
을 받은 일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인터넷을 만든 핵심인물과 함께 일한 사람이 국내에는 그 밖에 없기 때문이다(그는 빈트 서프와 대학원 동기다).학자로서 요즘 그가 몰두하고 있는 문제 역시 여전히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03
단 1년간의 연구로 발견된 약은 그리 흔하지 않다. 단기간에 발견된 최초의 당뇨병 치료제 인슐린. 발견의 업적을 둘러싼 연구자들의 공치사 경쟁으로 그 빛을 잃기도 한다. ... 거쳐 인공합성된 인슐린은 1982년 영국과 네덜란드를 시작으로 판매되기 시작됐다.(자료
도움
, 미국 일라이릴리 ...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03
타이타닉의 사진을 찍을 수 있었던 것은 사실 CURV와 아르고라는 무인탐사로봇의
도움
때문이었다. 1973년 미해군이 만든 무인탐사로봇 CURV-III는 아일랜드 근처 수심 4백20m에 침몰한 유인잠수정 PISCES-III에서 2명의 승무원을 구출해내기도 했다. 무인탐사로봇들은 1986년 불운하게 폭발하고 말았던 ... ...
1. 1백명 여론조사 KAIST 학생들의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602
과학동아에서는 KAIST재학생들의 학교생활과 사고방식 등을 알아보기 위해 KAIST 신문사의
도움
아래 학부생과 석박사과정의 학생 1백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월이 학부생들의 겨울방학인 관계로 학부생은 26명이 참여했고 석박사과정의 학생이 74명 참여했다. 설문에 참여했던 학생중에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02
중간에 있는 프로젝트가 꽤 힘들었다. 다행히 KAIST에서의 실험과 프로젝트 경험이 많은
도움
이 됐다. KAIST의 가장 큰 장점은 24시간 개방되어 있는 도서관 실험실 기숙사다. KAIST에서는 이론뿐만 아니라 실험도 중요시 하는 것인데, 보통 실험이나 프로젝트를 하게 되면 며칠밤을 새는 것은 예사다. ... ...
한글3.0b VS MS워드
과학동아
l
199602
표기능에는 스프레드시트 기능이 첨가돼 있어 간단한 산술식은 굳이 엑셀 프로그램의
도움
을 받지 않아도 무리없이 처리할 수 있을 정도다.글꼴 자체의 폭(장평)도 섬세한 조절이 가능해 동문회 회지 쯤은 전지출판 효과를 주어 만들어 쓰고 있다. 또 두 장의 문서를 A4용지 한 장에 인쇄할 수 있어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02
후진국과의 활발한 교류나 현지연구는 경쟁력 있는 연구 교육기관으로의 체질 개선에
도움
이 될 것이다. 선진국에 KAIST 분교나 현지연구소를 설치 운영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때늦은 감이 있지만 하루빨리 제2의 도약을 위한 진지한 검토와 계획이 KAIST와 KAIST를 아끼는 사람들에 의해 이뤄지길 ... ...
2. 특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02
근일점 이동을 계산하는 데 크게 도왔던 스위스의 수학자다. 많은 사람들은 그로스만의
도움
이 없었더라면 일반상대성이론은 완성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다.예언3. 소립자의 수명이 길어진다 뮤입자 축지법인간이 아직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오랜 기간 여행할 수 없기 때문에 쌍둥이 우주실험은 ... ...
2. 유니코드, 논쟁에 종지부 찍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602
전문위원회 실무자 회의에서도 중국 등의 거센 반대가 있었으나 유니코드 진영의
도움
으로 우리 안이 통과됐다. 같은 해 8월에 있었던 서면투표를 통해 이 안이 최종 확정됐으며 국제표준부호계에서의 한글지원 방식이 통일됐다.윈도NT같이 이미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운영체제 말고도(지금 나와 ... ...
3. 마음으로 찍는 사진 염사
과학동아
l
199601
보고 그 속의 장기(臟器)들이 움직이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어서 질병의 진단 치료에도
도움
을 주기도 한다.처음 발견된 'X선 시각을 가진 사람' 은 1963년 야르스벳드라는 12살의 남아프리카 소년. 그는 아주 깊은 지하로 흐르는 수맥을 탐지하는 능력을 가졌다. 지하의 물길이 마치 녹색의 달빛처럼 ... ...
이전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