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적혈구는 온몸에 산소를 전달하는 세포입니다. 적혈구 안에는 산소와 결합할 수 있는 헤모글로빈 단백질이 들어 있는데요,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하면 붉은 색을 낸답니다. 그런데 적혈구는 다른 세포와 달리 ‘구멍이 막힌 도넛 모양’이에요. 왜 그럴까요? 일반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제주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아름다운 섬입니다. 제주 올레는 이 아름다움을 여유롭게 눈으로 즐기면서 여행할 수 있는 길입니다. 올레를 걸으며 아름다운 자연경관뿐 아니라 그 속에 숨어있는수학을 찾아보는 여행을 시작해보려고 합니다.‘올레’는 제주 방언으로 ‘거리에서 대문까지, 집으 ... ...
- [과학뉴스] 국내 첫 ‘오랑우탄 거울실험’, 다큐로 나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손바닥 인터뷰국내에서 처음으로 진행된 오랑우탄 거울실험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비인간인격체 프로젝트(감독 박성호)’가 개봉을 앞두고 있다. 거울실험은 동물이 거울에 비친 모습을 자신이라고 여기는지를 통해 동물이 인간처럼 자의식이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이다. 제작에는 영국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게임은 인공지능이 참여할 수 있는 것 중 가장 목표가 명확하고 결과를 객관적으로 알 수 있는 분야다. 때문에 인공지능 연구가 처음 시작된 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게임 인공지능에 도전했다. 처음에는 두 사람이 번갈아가면서 직접 플레이하는 보드게임이 주된 공략대상이었다. ...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과학의 진보는 우주의 난제를 푸는 과정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가령 ‘태양 에너지가 어떻게 진공인 우주 공간을 지나 지구까지 전달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태양과 지구 사이에 어떤 ‘물질’이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일명 에테르 가설이다. 아인슈타인은 이런 에테르가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플라스마의 개념이 정립된 건 19세기 후반이지만, 응용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한 시점은 그로부터 수십 년이 지난 1960년대부터다. 수소폭탄 개발에 성공한 선진국들이 이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핵융합 연구에 뛰어들었기 때문이다.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물질을 플라스마 상태로 ...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과학동아 l2016년 04호
- ※ 편집자 주_사람의 몸은 죽고 나면 어떻게 변할까.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 자라는 과정은 잘 알려져 있지만, 죽어 사라지는 과정에 대해서는 정보가 거의 없다. ‘금기’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 금기를 깨고 시신을 연구한 한국인 과학자가 있다. ‘과학동아’도 함께 금기를 깨고 세상 어디에도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우리는 누구나 크든 작든 배신을 하면서 살아갑니다. 마음 한편에는 나를 믿어준 사람에 대한 미안한 마음이 자리잡고 있지만,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누군가와 협력하면 두 사람 모두에게 이득이 되지만, 배신하면 그의 이득까지 나의 이득이 된다는 걸. 하지만 그 이득의 단맛에 너무 빠져버리면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그는 모든 어른들과 마찬가지로, 소금보다 먼저 태어났다. 학교는 주거구역 한가운데에 있었다. 야트막한 언덕 위, 집들이 내려다 보이는 곳. 광산이 보이지는 않지만 광산의 소리와 진동은 느껴지는 곳.소금은 다른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그를 일곱 살 때 만났다. 그가 코쇠1에 살기 시작한 지는 이 ... ...
- [소프트웨어] 일차 함수 그래프 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미국 프로야구인 메이저리그의 경기 일정을 짤 때, 제지회사에서 화장지의 길이를 정할 때, 건설회사에서 건물의 화장실이나 엘리베이터의 개수를 구할 때 사용하는 수학이 있습니다. 바로 최적의 해법을 찾는 ‘최적화이론’입니다. 유통과 서비스, 스포츠, 금융 등 산업 곳곳에서 최적화 이론이 ... ...
이전4324334344354364374384394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