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검색했다고 치자. myLGNet, iptime, KT_WLAN 같은 이름의 무선인터넷공유기가 잡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일 이런 공유기에 저절로 연결되거나 심지어 집에서 쓰는 비밀번호로도 접속이 가능하다면 당신이나 공유기의 주인이나 모두 ‘보안 불감증’에 걸렸다. 위 이름들은 무선인터넷공유기를 처음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완전한
볼
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동물들은 번거롭게 혀를 이용해 물을 마실 이유가 없다.
볼
이 완벽한 사람도 마찬가지다. 주둥이를 물에 담그고 ‘쭉’ 빨아 당기면 쉽게 물을 마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혀는 양옆이 위로 말려 올라가 물이 지나가는 수로 역할을 한다. 물론 물이 너무 얕을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주)과 암흑에너지를 연구할 예정이다. 끈이론에서는 암흑물질이나 에너지가 우리가
볼
수 없는 칼라비-야우 공간에 숨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이는 입자론에 바탕을 둔 우주론으로는 상상하기 힘든 가정이다. 팽창하는 우주가 얼마나 구부러져 있고(외곡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 ...
‘빵’ 터뜨려 새로운 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아닌 생활에서 활용하는 방법을 고민하기 시작했다.“우리 곁에서도 비정상 연소를
볼
수 있습니다. 자동차 엔진 일어나는 ‘노킹’이라는 현상입니다. 자동차 엔진 안에서 휘발유가 비정상적으로 타거나 폭발해 소음과 진동을 일으킵니다. 이 현상이 계속되면 엔진에 치명적인 손상이 일어나기도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그래서 슈퍼셀에서 쏟아진 우박을 반으로 갈라보면 나무 나이테처럼 수많은 얼음 층을
볼
수 있답니다.스파우트 박사: 전 우박이나 비보다도 토네이도 소리가 더 무서워요. 기자님, 아직 못 들어보셨죠. 귀 바로 옆에서 거대한 야구방망이가 아주 빠른 속도로 휙휙 돌아가는 것 같기도 하고, 그 안에 ... ...
Part 1. 공개! 해킹 범죄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모든 데이터를 이메일로 받아보게 될 것이다. 또 FTP 서버로 나가는 내용도 모두 받아
볼
수 있다. 단 시스템 관리자들이 키로거의 존재를 알아채지 못하도록 루트킷도 설치했다. 자, 이제 집에 가서 이메일을 펼쳐보는 일만 남았다.실제로 국방부처럼 주요 국가기관과 관련된 곳을 해킹하려면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비교해 본다면 나로호는 액체로켓을 우주로 쏘아 올리는 ‘기술도입’ 과정이라고도
볼
수 있다.앞으로 개발될 한국형발사체는 한 발 더 나아갔다. 순수한 국내 기술로 로켓을 만들고, 여기에 인공위성을 실어 우주로 내 보내는 것이 목표다.교과부는 발사체 개발을 총괄 지휘할 사업단장을 7월 안에 ... ...
빛을
볼
수 있게 해 주는 기적의 안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그결과 빛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랍니다.어서 앞을
볼
수 없는 많은 사람들이 빛을
볼
수 있게 되면 좋겠네요!저도 빨리 많은 사람들의 눈이 되고 싶어요. 하지만 저는 아직 무척 비싸답니다. 우리 돈으로 무려 1억 2000만 원 정도나 하거든요. 하지만 과학자들의 끊임없는 연구로 곧 더 잘 보이고 더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다른 꽃도 초점이 맞지 않는다. 오른쪽 사진은 꽃 전체가 선명하다. 배경도 형태는 알아
볼
수 있다. 초점이 맞는 범위를 ‘심도’라고 한다. 왼쪽 사진은 심도가 얇다.F 값이 작은 상태에서 찍어 초점이 원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초점이 맞지 않은 것이다. 이것을 ‘아웃포커싱 ... ...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움직이는 특성은 액체인 물에 더 가깝다. 비눗방울의 두께비눗방울은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얇은 막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비눗방울 막의 두께는 2나노미 터(1nm=10-9m)에서 20마이크로미터(1μm=10-6m)이다. 머리카락 두께가 70마이크로미터인 걸 감안하면 얼마나 얇은지 짐작할 수 있다.108일 동안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