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마다가스카르 섬에 살다가 멸종한 동물의 대표적인 예다. 영국의 동물학자 머빈 브라운
박사
의 1978년 논문에 따르면 코끼리 새는 알의 무게만 10kg이 넘어 그걸로 150인분의 오믈렛을 만들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하지 만 그 큰 몸집의 새는 현재 지구상에 없다.코끼리 새 뿐만 아니라 자이언트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실험이 있다. 캐나다 맥마스터대 다프네 마우어
박사
팀은 깜깜한 곳에서 생후 두세 달 된 아기에게 공을 줘 만지게 했다. 공을 회수하고 불을 켠 뒤 한 손에는 공을, 다른 손에는 정육면체를 잡고 보여줬다. 이때 아이는 좀 전에 갖고 놀았던 공을 바라보는 시간이 더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떨어져 나온다고 가정했다.영국 런던 유니버시티칼리지 신경학연구소 사라 타브리지
박사
팀은 프리온 조각의 세포독성은 세포내 프로테아좀의 작용을 방해한 결과라는 연구결과를 2007년 4월 27일자 ‘몰리큘러 셀’에 발표했다. 세포는 소포체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가운데 잘못된 것을 제거하기 ... ...
조류인플루엔자 10문10답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내부 온도가 200℃ 이상으로 높아진다. 미국 농업연구팀 가금류연구실 데이비드 스웨인
박사
가 2007년 ‘식량생산저널’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AI바이러스는 닭고기 100g을 기준으로 70℃에서 5.5초 안에 죽는다. 매립한 뒤 땅 속 온도는 AI바이러스가 죽기에 충분하다는 말이다.그러나 매립한 뒤 ... ...
우주에서 돌아온 뒤 그들은 무얼 할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수행한 실험 결과를 공개하고, 조직을 개편해 달탐사 전담팀을 꾸릴 예정이다. 이
박사
와 고 씨는 이 팀에 투신해 연구 활동에 전념할 전망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광우병의 진실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 우주에서 돌아온 뒤 그들은 ... ...
우리 바다 지키는 '포세이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에 따라 분담해야 할 금액이 더 커질 수도 있음을 뜻한다.김
박사
는 “연구결과를 발표할 때마다 미래를 점치는 점술가라도 된 기분”이라며 “미래에 닥칠 가능성을 알려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주는 것도 중요한 임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연구팀이 예측한 미래 ... ...
비틀린 목성 고리, 비밀은 태양빛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더글러스 해밀턴 교수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태양계연구소 헤럴드 크루거
박사
팀은 목성의 그림자 안에 있는 고리가 심하게 뒤틀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2003년 목성탐사선 갈릴레오가 고리를 통과할 때 분석한 먼지 입자의 성질을 바탕으로 태양빛이 목성 고리의 모양에 큰 영향을 ... ...
AI 치료제에 내성 갖는 AI 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받지 않았다. 반면 또 다른 AI 치료제인 렐렌자에 대해서는 내성이 생기지 않았다.갬블린
박사
는 “AI가 크게 확산될 경우 내성이 생긴 바이러스를 하나의 치료제로는 통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타미플루와 렐렌자 모두 비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지방세포 수, 20세 이후 일정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그 결과 참가자들의 지방세포 개수는 20세까지 늘어났고 그 뒤부터는 일정했다.스팔딩
박사
는 “일반적으로 지방세포가 없어진 만큼 체내에서 재생산된다”며 “성인의 체내에서 지방세포가 죽고 사는 메커니즘이 밝혀지면 비만환자 치료에 새로운 길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 ...
산불로 생긴 숯, 온실가스의 숨은 주범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부식토에서 탄소가 더 많이 줄어들었다고 ‘사이언스’ 5월 2일자에 발표했다.바들레
박사
는 “구멍이 많은 숯 표면이 부식토의 유기화합물을 흡착해 미생물이 자라는 데 유리한 터전이 된 것”이라며 “그 결과 부식토가 빨리 분해돼 탄소가 많이 유출됐다”고 설명했다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