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생김새까지 요리가 인류에게 미친 영향이 엄청나구나!놀라긴 일러~. 요리가 바꾼 건 단지 눈에 보이는 것만이 아니거든. 유전자도 바꿔놨다구. 자,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쥐 통신원들이 보내온 뉴스를 보라구!쌀을 먹는 민족, 아밀라아제 유전자 개수 많아일본에 있는 ‘밥조아’ 통신원이무니다. ... ...
-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햇빛으로 만든 달력을 찾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벽을 살펴보니 아치 모양에 흠집이 나 있는 곳으로 햇빛이 들어오는 작은 구멍이 눈에 들어온다. 그 높이는 무려 20.35m다.성당에 간 날짜는 8월 1일 오후 1시 경. 햇빛이 자오선 근처에 떨어졌다. 하지가 지난 지 얼마 되지 않아서인지 햇빛이 바닥에 비친 모양은 거의 원에 가까웠다. 지켜보는 동안 ... ...
- Part 3. 정사각형 정보 상자, QR코드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들어간 코드도 있다.‘스마트 태그’라 부르는 이 코드는 바코드나 QR코드에 비하면 훨씬 눈을 사로잡기에 좋다. 가로와 세로에 색깔까지 덧입혀 3차원코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제작사인 마이크로소프트를 통해서만 만들고 읽을 수 ... ...
- 한국의 부르바키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3학년 과정은 물론이고, 고등학교 1학년 과정도 가볍게 훑어볼 수 있다. 수학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의 자랑이다. 영훈국제중학교에서는 올해부터 을 3학년 수학 교재로 사용하고 있다.성공 이유는 다름 아닌 탄탄한 팀워크 팀은 3~4명씩 7개의 조로 나눠 ... ...
- 드라마 뿌리깊은나무 수학으로 다시보기!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칸이 생기므로 1부터 9까지 모두 더하고, 이 수들의 합인 45를 가로줄의 총 개수인 3으로 나눈다. 결과는 15. 이는 가로줄하나에 들어갈 수들의 합이다. 물론 세로와 대각선도 마찬가지이다.물론 세종이 처음 했던 방법대로, 세 수의 합이 15가 되게 하는 수들의 조합을 일일이 골라 배치해도답을 구할 수 ... ...
- 서커스 최고 스타, 저글링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수학자들은 박자의 주기성이 없는 저글링이 있다면 매번 다른 묘기가 펼쳐져 사람들의 눈을 사로잡을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들은 이를‘무작위 저글링’이라고 이름붙인 뒤 연구했다. 그 결과 2004년, 미국 버몬트대 수학과 그레고리 워링턴 교수가 무작위 저글링은 그래프로 표현된다는 것을 ... ...
- [수학클리닉] 삼각비 정복하기!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눈높이에서 시작한 건물의 높이이므로, 실제 높이는 삼각비로 계산한 높이(h)에 측정자의 눈높이(b)를 더해야 해요.삼각비는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들이 처음 연구했어요. 그들은 두 별 사이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는 일에 집중했는데, 이 때 삼각비를 활용한 거예요. 모든 별들이 하나의 구면 위에 ... ...
- 지리산이 감싼 1500년의 눈물과학동아 l2011년 12호
- 구암리를 하늘에서 보면 선사시대 조상들의 흔적인 고인돌이 독특하게 배치된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변산반도 줄포리에 가면 제2대 부통령인 인촌 김성수가 살던 김상만 가옥이 있다. 바닷가에서만 볼 수 있는 볏짚이엉으로 엮은 전통초가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 동학농민운동을 일으킨 전봉준 ... ...
- 파리도 예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가진 내가 일등인 게 당연해! 예쁜 벌을 닮았다!안녕? 난 ‘멜론파리’라고 해. 빛나는 눈과, 노랑과 갈색이 어우러진 예쁜 몸이 정말 귀엽지? 뭐? 벌처럼 생겼다고? 맞아, 난 벌처럼 생겼어. 난 그냥 예뻐 보이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침을 쏘는 벌처럼 보여서 다른 동물들이 날 쉽게 잡아먹지 못하게 ... ...
- Part 2. 길+개리=원빈?!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쌍둥이도 가려낼 수 있을까?얼굴인식 기술은 어디까지 발전했을까? 사람의 눈으로도 쉽게 구분하기 힘든 쌍둥이도 구별할 수 있을까? 일란성 쌍둥이라 하더라도 3D 얼굴인식으로는 구별이 가능하다. 아무리 비슷한 얼굴이더라도 피부의 미세한 주름과 같이 다른 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은 ... ...
이전4324334344354364374384394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