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여부를 확인해 정액인지 아닌지를 분별한다.이환영_hylee@yuhs.ac현재 연세대 의대 법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9년부터 체액 식별과 연령 추정을 위한 DNA 메틸화 연구를 하고 있다. 2014년부터 정부 지원으로 DNA 메틸화를 이용해 용의자의 외모와 습성을 추정하는 연구와 범죄현장 재구성을 위한 DNA ...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단백질이 암 백신의 효과를 높인다는 사실도 알아냈다.유학선 부산대 의대 기생충학교실 교수는 기생충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조절T세포를 늘리는 기생충의 단백질을 유산균과 같은 박테리아에 실어 장으로 보내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비만 치료에 기생충을 이용하는 방법도 개발 ... ...
- [SW 기업 탐방] 세상을 지배하는 미분방정식 온라인에서 쉽게 풀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사라져 갔다. 국내 유일의 수학 소프트웨어가 없어지는 게 아쉬웠던 김 대표는 2009년 권 교수를 설득해 셈툴을 사회에 내놓았다.김 대표는 “수학 소프트웨어는 개발이 쉽지 않다”며, “사용자가 쉽게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알고리즘 세트를 만들어야 하는데, 산업현장에서 어떤 문제를 풀기 ... ...
- Part 1. 뻥뻥 뚫리는 도로 깔기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머릿속에 모양이 떠올랐으면 길부터 닦아야죠. 길을 마음대로 놓아서는 안돼요. 도로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건 교통체증을 막는 겁니다. 그러지 않으면 소방차가 길에서 옴짝달싹 못한 채 불난 집만 지켜보는 사태가 생길지도 몰라요. 제가 세 가지 전략을 준비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 ... ...
- Part 2. 소방서와 경찰서를 지어라!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특이한 지형에서 측지중심을 찾는 건 계산량이 많아요. 안희갑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2014년에 임의의 도형에서 측지중심을 찾는 컴퓨터 알고리즘을 만들었습니다. 도형의 꼭짓점이 N개면 N번만 계산하면 돼 세계에서 가장 빠르죠.한 가지가 더 있습니다. 따지고 보면 우리는 허허벌판에 ... ...
- Part 4. 거대 도시에서 행복하게 사는 법수학동아 l2017년 08호
- 2014년, 서울시에는 공공자전거 ‘따릉이’가 생겼습니다. 사람들은 차를 타는 대신 집 근처 거치대에서 따릉이를 빌린 뒤 직장이나 학교 근처에 반납하면 됩니다. 이처럼 거대도시는 차량 이용 자체를 줄여 교통체증을 해결합니다.그런데 관리를 해주지 않으면 자전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렵 ... ...
- 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드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가지 유해한 미생물을 없애 주는 살균작용을 하기 때문에 소독제로 주로 쓰여요. 윤제용 교수팀은 현재 석회질을 거르는 정수 필터도 개발 중이랍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지역을 날다!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 ...
- Part 5. 3D프린터, 트랙터까지 내 손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우리나라에서도 관심을 받고 있어요. 누구나 만들 수 있는 3D프린터를 개발한 신관우 교수팀처럼 학계는 물론, 마을기술센터 핸즈, 오늘공작소, 적정기술공방 등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적정기술 메이커 모임들도 많지요. 성격은 조금씩 다르지만, 내 손으로 직접 뭔가를 만들고 수리한다는 공통점이 ... ...
- Part 2. [음악] 작곡부터 오페라 공연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등 사람이 최소한의 설정만 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우리나라에는 광주과학기술원 안창욱 교수팀이 개발한 ‘EvoM(이봄)’이 대표적이지요.이봄은 악보에 음표를 아무렇게나 그려 넣는 것으로 작곡을 시작해요. 마구잡이로 음들을 악보에 적었기 때문에 아직 멜로디는 엉망진창이지요.점차 이봄은 ... ...
- [과학뉴스] 곰팡이 이기는 식물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구체적인 원리를 찾아냈다.이영숙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와 백경희 고려대 생명과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배추과 식물에 알터나리아 곰팡이가 피었을 때 배추과 식물이 잎의 세포 내에서 독성물질인 카마락신을 분비하고, 이를 ABCG34라는 단백질을 이용해 잎의 표면으로 옮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
이전4324334344354364374384394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