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글쓰기] 인공지능 소설가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예술 활동은 객관적인 평가기준이 없기 때문이에요.그래서 미국 조지아공대 마크 리들 교수는 예술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평가하는 ‘러브레이스 테스트’를 고안했어요. 이 테스트는 인공지능이 예술가처럼 얼마나 뛰어난 작품을 만들었는지 평가하지는 않아요. 대신 평범한 사람들처럼 하나의 ... ...
- 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나는야 16차원에서 날아온 섭섭박사! 과학 연구실이라면 가 볼 만큼 가보고, 웬만한 실험이나 메이커도 다 해 봤지! 그런데 뭐지? 뭔가 부족한 이 기분?안 되겠어! 과학의 달을 맞아 아주 특별한 과학을 찾아봐야겠어.▼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Part 1. 천사의 ... ...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흡열 :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반응.●발열 : 주위로 열을 방출하는 반응.안성훈 교수팀은 아프리카 말라위와 탄자니아에 백신 냉장고 3대를 보급했고, 올해 케냐와 네팔에도 전달할 예정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 ...
- Intro. 멋진 작품이 뚝딱! 인공지능 예술가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안녕! 우리는 예술계의 거장 빈센트 반 고흐,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윌리엄 셰익스피어야. 요즘은 기계도 예술 활동을 한다는 말을 듣고 놀라서 찾아왔어. 예술이야말로 창의력이 있어야 가능한 인간 고유의 분야라고!기계가 예술을 한다는 건 말도 안 돼!▼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Part 2. [음악] 작곡부터 오페라 공연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등 사람이 최소한의 설정만 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우리나라에는 광주과학기술원 안창욱 교수팀이 개발한 ‘EvoM(이봄)’이 대표적이지요.이봄은 악보에 음표를 아무렇게나 그려 넣는 것으로 작곡을 시작해요. 마구잡이로 음들을 악보에 적었기 때문에 아직 멜로디는 엉망진창이지요.점차 이봄은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뇌로 가는 혈류가 증가해 뇌 기능이 좋아집니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정신과 존 레이티 교수는 ‘운동화 신은 뇌’라는 책을 통해 뇌가 운동화를 신어야, 다시 말해 운동을 해야 뇌가 좋아진다는 사실을 강조했습니다. 그래서 미국 학교에서는 1교시 체육시간을 늘리고 있죠. 흔히 머리가 나쁘면 몸이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보기가 어렵다는 것이랄까.고든 셰퍼드(Gordon Shepherd)_gordon@yorku.ca캐나다 요크대 명예 연구교수. 요크대 지구및우주과학연구센터 소장을 역임했고, 우주에서 지구의 상층 대기를 관찰하는 광학적 방법에 관한 연구를 했다. 미국 지구물리학회와 캐나다 왕립학회 회원이다. 2003년 캐나다우주국의 존H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질병이 발생하기 전에 나타나는 징후가 있는데, 그걸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싶었어요.”김철기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바이오자성융합센터장) ... DGIST 대학원 6개 전공분야 융복합 연구실의 최신 연구업적과 그 성과를 함께 이룬 교수와 대학원생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통계적으로 분석해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평면 형태의 몽타주를 만들었습니다. 카이저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DNA로 얼굴 모양을 추정하는 이번 연구는 향후 과학수사에 응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습니다.Session 2. DNA 데이터베이스 어디까지 허용돼야 하나본격적인 토론을 하기 전에 ...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여부를 확인해 정액인지 아닌지를 분별한다.이환영_hylee@yuhs.ac현재 연세대 의대 법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9년부터 체액 식별과 연령 추정을 위한 DNA 메틸화 연구를 하고 있다. 2014년부터 정부 지원으로 DNA 메틸화를 이용해 용의자의 외모와 습성을 추정하는 연구와 범죄현장 재구성을 위한 DNA ... ...
이전4324334344354364374384394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