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세 편의 논문이 게재됐다. 액시온 입자가 특정 질량 영역에 있다면 우주의 약 4분의
1
을 차지하는 암흑물질을 설명할 수 있다는 우주론적 의미를 부여하는 내용이었다. 이는 ‘액시온의 기적(axion miracle)’이라 불리며 액시온이 암흑물질을 설명할 강력한 후보로 떠오르는 계기가 됐다. 액시온이 ... ...
AI, 감히 나를 평가해? AI 면접 '찐후기'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같은 질문이 주어졌다. 이렇게 첫 번째 사전조사부터 마지막 심층면접까지 AI 면접은
1
시간이 조금 넘게 걸렸다. 얼굴 이미지 7억 개 학습… 표정 분석이 핵심‘영업 및 마케팅 분야 적합도 99%, 연구개발 분야 50%’.이틀 뒤 전달받은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히스톤단백질을 주제로 나름 석사 논문도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002~20
1
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책임자를 맡았다. 20
1
4~20
1
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맡아 202
1
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개발을 이끌었다. gwcho@kari.re.kr * 용어정리발사패드 : 발사대의 맨 아랫부분. 발사체를 안전하게 지지하고 발사체에 추진제와 각종 가스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통해 품었던 순수한 호기심이 현실로 다가오는 순간이었다. 기존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1
년간 기술을 개발해 실내에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본 기술을 완성했다. 하지만 회사와 기술이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투자를 받아야 했다. 당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신호가 도달하지 ... ...
[수학뉴스]어떤 매듭이 더 강할까? 수학으로 확인했다!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더 강한지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
월 3일자에 실렸습니다. ... ...
[수학뉴스]초등부터 단계별 ‘AI 교육 기본계획’ 마련한다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정부는 20
1
9년
1
2월
1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3회 국무회의에서 ‘AI 국가전략’을 발표했습니다. ‘IT 강국을 넘어 AI 강국으로’라는 ... 교육부 양성 인원에 더해 5년간 800~
1
000명의 AI 전문교사를 전체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1
명 이상씩 배치할 계획입니다. ...
위치 정보로 과거의 사건을 재구성 하라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합쳐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공간통계’를 이용해 아라가야의 비밀을 파헤치세요!
1
. 아라가야에는 막강한 영향력을 떨치는 정치가가 있었다?강동석 문화재청 고고연구실 학예연구관은 비용- 배분 분석을 이용해 아라가야의 정치 체계를 추정했어요. 분석 결과 아라가야인은 말이산고분군을 중심 ... ...
테렌스 타오가 콜라츠 추측을 거의 증명했다고?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상.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테렌스 타오가 콜라츠 추측을 거의 증명했다고?Part
1
. 테렌스 타오 그는 누구인가?Part2. 콜라츠 추측 왜 어려운가? Part3. 거의 풀었다는 타오의 연구 결과는? 참고자료 제프리 라가리아스 ‘The 3x+
1
Problem : An Overview’, 테렌스 타오 ‘Almost A ...
콜라츠 추측, 왜 어려운가?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기록으로 남아 있진 않습니다. 콜라츠 추측이 글로 정확하게 사람들에게 소개된 것은
1
97
1
년 영국의 기하학자 해럴드 콕서터의 강의자료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전까지 콜라츠 추측은 수학자들의 입에서 입으로만 전해진 거죠. 당시만 해도 수학자의 관심을 끌지 못했나 봅니다. 그러다
1
972년 미국 ... ...
[별 헤는 수학] 도플갱어가 소개하는 왜소은하 찾기 시민과학프로젝트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있습니다!③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로!시민과학자들이 분류할 천체 사진은
1
월 말 현재
1
만 4309장이고, 앞으로 더 많아질 거예요. 이 많은 데이터는 앞으로 인공지능을 이용해 천체 사진에서 왜소은하를 분류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로 활용할 예정이에요. 내가 분류한 데이터로 인공지능을 가르치는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