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중 일부가 고장난 데 이어, ISS 밖에서 우주유영을 하던 러시아 우주인은 한 모듈에 총탄
크기
로 뚫린 구멍을 발견했다. 그간 ISS의 대형 태양전지판에서는 구멍이 여러 개 발견된 적은 있으나 모듈에서 우주물체 때문에 생긴 구멍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었다. 모듈 자체를 관통한 것은 아니라 안전엔 ... ...
아이스크림, 녹아도 괜찮아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스리니바산 다모다란 교수팀은 아이스크림이 녹았다가 다시 얼더라도 원래의 결정
크기
를 유지해 주는 단백질을 만들었어요. 파파야에서 추출한 젤라틴으로 만든 이 단백질은 아이스크림속에서 물 분자가 이동하지 못하게 해서 얼음 결정이 커지는 걸 막아요.아이스크림의 얼음 결정은 일반적으로 ... ...
얼음호수에서 생명체 찾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그러자 빽빽하게 소용돌이가 일며 물이 위, 아래로 천천히 움직였다. 소용돌이의
크기
를 실제 보스토크 호수의 비율로 환산하자 지름이 10~30m에 이르렀다. 또 박테리아가 호수 바닥에서 꼭대기까지 올라가는 데는 20~30일이 걸린다는 계산이 나왔다. 웰스 교수는 “보스토크 호수 속에 미생물이 살고 ... ...
분자로 만든 북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조금씩 다른 9각형의 분자구조물들을 만들었다. 이 구조물들은 일산화탄소 분자의
크기
인 0.1nm(나노미터, 1nm=${10}^{-9}$m) 높이의 벽 9개로 이뤄져 있으며 안에 전자가 갇힐 수 있도록 사방이 막혀 있어 북 모양이다. 마노하란 교수는 여기에 전자 30개를 넣고 일산화탄소 벽에 부딪힐 때 나는 소리를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통과할 수 있다. 연세대 의대 송재우 교수는 “건강한 적혈구는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바람이 빠져 유연해진 타이어처럼 모양이 자유롭게 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건강하지 못한 적혈구는 단단하게 굳어있기 때문에 모세혈관을 통과하지 못한다. 피가 모세혈관을 통과하지 ... ...
일본어 몰라도 스털링 엔진 만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금속대롱을 바꿔 끼는 바람에 도중에 다시 분해하기도 했다.다행히 부품과 구멍의
크기
에 오차가 거의 없어 부품이 결합되지 않는 문제는 전혀 없었다. 또 나사가 작아 잃어버릴 염려가 있어서인지 종류별로 1개씩 여분도 있었다.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설명서의 그림만 잘 이해한다면 완성 못할 일은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p구조인 Ge에 금속 전극 m을 붙여 p-n-p-m구조로 만들고 m에서 주입되는 전자가 전체 전류의
크기
에 따라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SCR와 통일한 특성을 가지게 한 반도체소자질산암모늄 고체에 마른 암모니아 가스를 보내 염이 암모니아를 흡수하고 점차 액체화하여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무색 액체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통해 전달된 전기신호를 전광크리스털로 받은 다음, 여기에 레이저를 쏘면 전기신호의
크기
에 따라 전광크리스털을 투과하는 빛의 양이 변한다. 이를 광센서로 감지해 송신기에서 보낸 데이터를 식별한다.NTT는 감도가 뛰어난 크리스털 덕분에 기존 인체통신 장치보다 10배 이상 빠른 10Mbps의 데이터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막단백질은 물에 잘 녹지 않아 생산하기 힘들고 비누성분으로 녹이면 일반 단백질보다
크기
도 커진다. 단백질이 커질수록 신호가 복잡해지고 약해져 900MHz NMR 같은 고해상도 장비로 관찰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전 단장은 생명공학벤처기업인 크리스탈지노믹스에 몸담고 있던 시절 ... ...
여성의 남성 취향도 유행타나?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받았다. 연구자들은 “5년간의 선호도를 평균한 결과 몸의 깃털 색깔과 부리의
크기
에 대한 선호도만이 어느 정도 일관성을 유지했다”며 “암컷의 취향이 변덕스러운 이유는 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라고 해석했다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