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서울대 다이로스 연구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지난 해 TV에 방영된 한 라면 광고를 기억하나요? 구슬땀을 흘리며 로봇을 개발하는 연구팀이 출연해 화제가 됐지요. 이번에 기자단 친구들은 광고 ... ”로봇은 인간의 삶을 점점 더 편리하게 바꾸고 있어요. 앞으로 다이로스 연구실에서
전
할 깜짝 놀랄 소식들이 벌써부터 기대되지 않나요 ... ...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아니라 우리나라의 섬 지역에서도 이 방법으로 물을 얻고 있어요. 하지만 이 방법도 여
전
히 문제가 있어요. 바닷물을 증발시킬 때처럼 큰 공장을 만들어야 해서 에너지가 많이 들지요. 또 바닷물에는 염분 외에도 여러 물질들이 많은데, 이들이 막의 구멍을 막아버려요. 그 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 ...
[매스미디어] 캐리비안의 해적 - 죽은자는 말이 없다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모르지만, 지금까지 몇 번은 저 세상으로 갔어도 이상하지 않다. 5편을 보기
전
에 잭이 수많은 적으로부터 살아남을 수 있었던 비법을 알아보자.우여곡절 잭 스패로우의 생존 비밀이번 영화의 예고편을 보면 시리즈를 통틀어 가장 고생할 잭의 모습이 선하다. 잭에 대한 복수심으로 불타고 있는 ... ...
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
쟁 시뮬레이션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군대는 여러 방법으로
전
쟁을 대비한다. 현대에는 가늠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예측해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고, 모델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한다. 이것을 가상으로
전
쟁을 벌여 훈 ...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
쟁Part 6. 끝나도 끝나지 않은
전
쟁 ... ...
[과학뉴스] 마스크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사상 최악의 미세먼지가 한반도를 습격하면서 거리엔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늘었습니다. 몇 년
전
만 하더라도 마스크를 쓰는 사람은 건강을 과도하게 ... μm 이하인 먼지를 일컫습니다. KF94와 KF99는 미세먼지보다 작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전
염성 질병원도 차단할 수 있습니다 ... ...
[과학뉴스] 장내미생물 나이는 4억 살 이상?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장내구균이 건조함에 내성을 갖게 될 때와 항생제가 그들의 세포벽을 공격할 때 어떤 유
전
자를 얻었는지 알게 됐다”며 “이는 강력한 항생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셀’ 5월 11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ell.2017.04.02 ... ...
[Issue] 이번엔 윈도우10? 랜섬웨어 재습격 예고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파일을 복호화 할 능력이 없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습니다.맥OS는 안
전
하다?워너크라이는 윈도우의 취약점을 노렸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쓰는 스마트폰은 감염을 피해갈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유사한 방식으로 안드로이드의 취약점을 노린 랜섬웨어가 등장하지 ... ...
[Future] 잠 테크놀로지 시대, 숙면 위해 ○○하라!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다르기 때문에 등고선의 형태도 조금씩 다르다. 예컨대 엉덩이의 하중이 큰 사람은
전
체 몸무게의 최대 40%에 해당하는 무게가 집중돼 있다(육안으로 확인했을 때 기자는 약 38% 정도 집중돼 있는 것 같았다).적나라한 몸의 하중을 확인하고 상심에 빠진 기자를 일으켜 세우며 박 과장은 “정확한 척추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추정하고 효소를 찾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플라스틱 먹는 ‘환경 곤충’들이
전
에도 플라스틱을 먹는 애벌레가 발견된 적이 있다.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애벌레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애벌레다. 화랑곡나방은 꿀벌부채명나방과 같은 명나방과로 애벌레가 비닐로 ...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이야기꾼. 현재 희귀광물 3000여점을
전
시하는 ‘민 자연사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삼성
전
자에서 디스플레이 등 여러 분야에 30년 넘게 근무하다 부사장으로 퇴임했다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