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연료를 만나게 될까. 베르그토르손 교수는 “독일에서 최근 발전소용 연료로 리튬을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금속은 아직 다른 연료보다 비싸기 때문에 모든 연료를 대체할 수는 없다”면서도 “그러나 현재 가장 흔히 쓰이는 산화제인 산소가 없는 상황, 즉 물 속이나 ...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이 카페인을 마시면 심장질환이 생길 수 있다. 종이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분쇄한 커피콩을 그대로 뜨거운 물에서 우리는 프렌치 프레스 방식의 커피를 하루에 여섯 잔 이상 마시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상승할 수도 있다. 생체리듬을 깨뜨릴 수 있어 중요한 일을 앞두고는 ... ...
- [Tech & Fun] 탈모 기자가 본 탈모 치료법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대부분이 ‘아직 갈 길이 먼’ 결과인 반면, 이번 실험 결과는 현재 FDA의 승인을 받고 사용 중인 약물을 이용한 것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실험을 진행한 미국 컬럼비아대 피부과학과 안젤라 크리스티아노 교수는 이미 탈모계에서 유명한 인물이다. 박사학위 때부터 탈모에 집중해 20년 이상 한 ...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줄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동환 탐사대원은 “바다와 섬을 찾는 사람들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또 자기가 만든 쓰레기를 스스로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 따뜻한 바닷물에 안겨 동식물을 실컷 탐사한 대원들은 다음 날 ‘인어공주’를 만나기 위해 리봉 섬으로 향했다.‘인어공주’와 바다 ...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팡! 물풍선이 터진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물풍선에 갇힌 상대편을 터뜨리거나, 아이템을 먹을 때는 모두 ‘충돌’ 원리를 사용한답니다.아케이드는 점과 점의 충돌‘크레이지아케이드’는 캐릭터가 상하좌우로만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충돌 원리를 적용할 때 캐릭터나 아이템 모양에 구애받지 않지요. 맵은 가로세로 좌표로, 그리고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단청 퍼즐 속 수학 찾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동양오행설의 영향을 받아 청색, 적색, 황색, 백색, 그리고 흑색으로 다섯가지 색을 사용한다. 단청은 장식용으로만 이용되지 않고 기능적인 용도로도 쓰이는데, 목조건물에서 비바람에 나무가 썩지 않도록 보호해준다.심미성과 기능성을 모두 갖춘 단청의 기하학적인 무늬에서 수학적 규칙도 찾을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이용한 암호다. 60자리 소수 두 개를 곱해 암호를 만들고, 소수를 암호를 푸는 열쇠로 사용한다.그런데 만약 리만 가설이 참이라면 이런 소수에도 규칙이 있다는 소리가 된다. 그래서 몇몇 수학자들은 리만 가설이 해결되면 획기적인 소인수분해법도 개발되리라고 보고 있다. 한편에서는 이것이 전혀 ... ...
- [소프트웨어]앱으로 나를 소개하자!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서랍(Built-In Drawers)제어, 수학, 변수와 같은 일반적인동작에 쓰는 블록이 모여 있습니다.사용하고 싶은 블록을 드래그하여블록 뷰어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❷ 블록(Blocks) 버튼이 버튼을 클릭하면 블록 모드로이동합니다.❸ 컴포넌트 전용서랍(Component-Specific Drawers)디자이너 모드에서 추가한컴포넌트를 ...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업체 관계자는 “광개시제는 우레탄이나 에폭시를 다루는 기존 산업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돼 온 물질로, 당연히 먹어선 안되고 장기적으로 노출됐을 때 피부 등에 유해할 수 있다”며 “경고 문구를 비롯해 물질 정보가 정확히 기록된 MSDS를 구매자에게 제공해 안전에 유의하도록 하고 있다”고 ...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수 없는 결과 같았지만, 여기엔 단순한 이유가 있었다. 컴퓨터가 숫자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자릿수와 계산을 멈췄을 때 출력한 숫자의 자릿수가 달랐다. 당시 로렌츠가 이용한 컴퓨터는 계산을 할 땐 기억공간(메모리)에 저장된 소수점 아래 여섯 자리까지의 수를 이용했지만, 프린터로 출력할 때는 ... ...
이전4314324334344354364374384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