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특수효과기법을 다각도로 활용해야 제대로 그려낼 수 있다.영화 속에서 묘사됐듯이 수
백
m나 되는 터널을 오픈세트(open set)로 건조한다면 엄청난 제작비가 소요될 것이다. 설사 사실감과 현실감을 완벽하게 표현하기 위해 실제로 터널을 뚫었다 하더라도 조명을 제 위치에 설치하고 장면을 다양한 ... ...
의료분쟁 해마다 증가추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있다"고 말한 이진렬회장은 "일반인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의사연에 한달평균 1
백
건이 넘는 사고접수가 들어오는 것만 봐도 우리나라 의료사고의 실상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요컨대 환자측은 주로 결과를 중시, 자신의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한 책임을 의사에게 지우려 하고, ... ...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것이다. 실제로 은하단의 중심부에서는 cD은하라고 불리는 보통의 은하에 비해 질량이 1
백
배 이상이나 되는 거대한 은하가 관측되는 경우가 많다.우주에서는 초대형의 cD은하들 뿐만 아니라 서로 잡아먹고 먹히는 과정을 겪고 있거나 이미 융합된 형태를 보여주는 은하들이 많이 관측되고 있다. 이런 ... ...
소련 과학계 해외시장 개척 활발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우랄산맥의 한 공장을 시찰한 일군의 미국전문가들은 이들이 30m길이 설비에 감춰진 1
백
분의 1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구멍까지 찾아낼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런 기술은 핵 및 의약품생산, 에너지 부문에 응용될 수 있다.일부 전문가들은 일례로 구 소련 과학자들이 미국 ... ...
실물과 꼭 닮은 인조과일 개발한 홍성모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새로운 발명품의 아이디어를 낳는 식이 돼서 그는 첫 특허를 낸 지 9년이 지난 지금 2
백
여건의 특허를 갖게 됐다.홍성모씨는 몇년전부터 과거의 자신과 같은 초심자들에게 발명의 길을 설명하는 연사가 됐다. 학교나 기업체 공무원들을 위한 강연회에 초빙되는 것은 물론이고 ... ...
전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전자기파를 규명해내고 이를 다스려 온갖 문명의 이기를 만들어 내기 시작한 것은 불과 1
백
여년 전의 일이다. 공기처럼 우리생활에 스며든 전파의 본 모습은 무엇인가. 전파의 앞길을 가로막는 적은 없는가. 우리생활에 나날이 밀착해오는 전파를 탐구해본다 ... ...
(1) 21세기는 무선통신 천국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일어나야하는 통화절체기능(handover)이 있는 것이다.한편 코들리스전화의 또 다른 방식이 9
백
㎒대에서 보급되고 있다. MCA방식으로 40개 채널이 확보되며 잡음이 적은 대역이므로 앞에서 소개된 것보다 음질이 우수하고 송신출력도 강해 더욱 멀리까지 통화가 가능한 시스템이지만 비교적 고가인 것이 ... ...
2 점보제트기가 떠서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열의 성질을 이용한 기계들이다.열의 이용은 인간이 달성한 최초의 진보이다. 불은 약 1
백
만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발견되고 그 열에 의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 찬 음식물을 데울 수 있었다. 가장 열 이용이 진보된 금속을 용해시킬 동력을 공급할 정도의 고도의 방법이 탄생하기까지는 그로부터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단지 천문대 사진에 의해서만 그 장관을 볼 수 있다. 원추 성운까지의 거리도 2천5
백
광년정도이나 그 크기는 보름달 정도로 장미 성운에 비해서 작다. 커다란 성운의 일부인 원추 성운은 사진 속에서 가스로 이루어진 검은 피라미드처럼 보이는데 그 뒤쪽은 젊은 별들에서 나오는 빛에 의해 밝게 ... ...
해외 과학기술자 유치작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한국과학원 입학생을 모집하게 되었다. 전국에서 내로라하는 우수한 대학 졸업생들이 5
백
명 이상 응모했다. 나는 늘 "대학이나 대학원 교육은 양보다 질이 우선되어야 한다. 소수정예를 선발해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교무처장이던 전무식 박사(현 KAIST교수·화학)에게 이렇게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