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밤에 펼쳐지는 달의 몰락 부분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자연스럽게 손가락을 편 채 오른손을 들어 엄지손가락을 달로 향하면, 새끼손가락
방향
으로 보이는 것이 화성이고 화성 오른쪽이 안타레스다.자정을 넘기면서 달은 조금씩 제모습을 찾아간다. 새벽 1시 15분께 이르면 본영식이 끝난다. 2시 40분쯤 반영식도 끝나면서 5시간여에 걸친 부분월식은 ... ...
1. 인간배아 이용한 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미래 의학의 핵심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성체줄기세포의 경우에는 정해진
방향
으로만 분화하는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골수세포는 혈액을 구성하는 백혈구나 적혈구 세포가 된다. 그런데 최근 골수세포나 아기가 출생할 때 탯줄에 존재하는 조혈모세포나 체지방 세포가 신경이나 근육과 같은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형성됐다. 해안가로 내려가면 퇴적층을 자세히 볼 수 있다. 일출봉에 올라 한라산
방향
으로 아래 지형을 살펴보면 좁은 모래톱 모양의 지형이 눈에 들어온다. 육계도라고 불리는 곳이다. 만약 육계도가 없었다면 일출봉은 섬이 됐다 ... ...
자신을 가두는 반복의 굴레 -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벽이나 바닥을 부리로 쪼기도 한다. 날개짓을 하며 부산을 떠는 놈들도 있다. 이때 한
방향
의 벽을 골라 그 벽을 부리로 쫄 때마다 모이를 주는 것이다. 아무 것도 모르는 비둘기는 신나게 받아먹고 이리저리 움직이겠지만, 이러한 과정이 반복될수록 비둘기가 특정 벽을 쪼는 횟수는 점차 증가하게 ... ...
눈앞에서 사라지는 색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두 회전운동의
방향
이 반대가 되므로 회전속력이 감소하고, 반대쪽은 두 회전운동의
방향
이 같으므로 회전속력이 빨라진다. 따라서 정지해 있는 관찰자에 대해서 손가락을 튀긴 쪽은 반대쪽보다 느리게 회전하게 되므로 색종이가 잘 보이고, 반대쪽은 색종이가 빠르게 지나가 보이지 않는 것이다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때 전기 신호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바람이 부는 날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는 바람
방향
으로 흘러가면서 중간중간 끊어지는 모양이 된다. 연구팀은 나방이 더듬이를 움직이는 것은 바람에 흩날리는 굴뚝 연기처럼 냄새와 깨끗한 공기의 불연속적인 냄새의 파동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테크놀러지 퓨전이 필요합니다.”구사장이 생각하는 테크놀러지 퓨전은 두가지
방향
이다.“우선 서로 다른 업종 사이의 기술 결합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명공학(BT)과 정보통신기술(IT)이 결합된 바이오인포매틱스, BT와 기기개발기술이 결합된 바이오인스트루먼트 등이 그것이죠.”BT와 ... ...
80세나 수명 늘려준 남두육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남두육성은 서양의 궁수자리를 구성하는 별들로 이뤄져 있다. 궁수자리는 은하수의 중심
방향
에 있는 별자리로 유명하다. 여름철 하늘을 수놓는 은하수의 남쪽 끄트머리 근방에서 찾을 수 있는 별자리인데, 백조자리 데네브와 독수리자리 알타이르를 잇는 선을 두배 늘려서 남쪽으로 내려가면 찾을 ... ...
별은 매일 4분씩 일찍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 )I 정답 해설 I우리나라에서 남서쪽 하늘에 떠있는 별은 시간이 지나면 오른쪽 아래
방향
으로 진다. 따라서 문제(1)의 정답은 D다. 지구 자전에 의해 하늘은 시간당 약 15°씩 회전하므로 4분 동안에는 약 1°기울어야 한다.지구는 자전만 하는 것이 아니라 1년에 한번씩 해를 공전하기도 한다. 따라서 ... ...
1. 깜찍한 센스 갖춘 기계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자료가 엄청나게 많다. 이들 처리에는 초대형 컴퓨터가 필요한 상황이었지만 NASA는 다른
방향
을 모색했다.관측 자료의 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비용을 줄일 수 있기 위해 센서와 컴퓨터를 하나로 만들려고 했다. 다름아닌 스마트센서의 개념을 도입했다. 스마트센서는 대상의 물리량을 측정하고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