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손목이나 손가락에 연결된 모터를 작동시킨다. 이런 일이 가능한 이유는, 손이 잘려나간 뒤에도 잘린 손의 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을 향해 뇌가 ‘동작하라’는 명령(근전기 신호)을 내려 보내기 때문이다. 잘린 손의 운동을 담당하는 운동영역이 뇌에 그대로 남아 있어 가능한 일이다 ... ...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빠질 수 없겠죠. 연구소 안에 작은 식당에선 두툼한 고기를 튀긴 커틀렛과 감자를 삶은 뒤 으깬 퓌레를 팝니다. 한국의 김치찌개, 된장찌개처럼 러시아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는 메뉴입니다. 보르쉬’라고 하는 빨간무를 재료로 한 따끈한 스프도 추천합니다. 원래 맛있는 건지 날씨가 추워서 맛있는 ... ...
- [Career] 상식 넘어선 도전, 빛나는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도와준다. 연구팀은 에탄올아민을 이산화티타늄 위에 떨어뜨린 뒤 회전시키면서 코팅했다.그 결과 전자수송층과 활성층 사이에 쌍극자가 생기면서 전자가 이동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작아지고 전자 흐름이 좋아졌다. 이 소자를 태양전지로 사용하면 기존 태양전지보다 ... ...
- [도전! 코드마스터] 논리적으로 생각하자! ‘컴퓨팅 사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비슷한 문제는 모두 같은 공식으로 쉽게 풀 수 있어요. 또 생물의 특징을 찾은 뒤 비슷한 것끼리 묶어서 분류해 놓은 덕분에 새로운 생물을 발견했을 때 바로 생물의 종류를 알 수 있지요.결국 컴퓨팅 사고는 어떤 문제든 창의적이고 논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힘이라고 할 수 있어요.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통신은 물론 공학에도 활발히 쓰이고 있다. 그래서 라마누잔의 업적은 오히려 죽은 뒤에 더 높게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라마누잔이 발견한 수학적 사실이 블랙홀의 엔트로피 계산과 같은 분야에도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특히 하디와 라마누잔의 공동 연구결과인 ‘하디-라마누잔 점근 ... ...
- [지식] 오늘이 사연, 칩 토크 게임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번 사연, 여러분도 공감하시지요? 중고 거래를 할 때는 늘 걱정이 앞섭니다. 튼튼하다고 해서 믿고 산 물건이 사실은 상태가 별로일까봐 ... 조금은 마음이 놓이네요. 첫 번째 사연의 청취자분도 판매자에 대해 꼼꼼히 찾아본 뒤에 용기 내서 거래에 도전해 보세요! 노래 한 곡 듣겠습니다~ ... ...
- [소프트웨어] 대칭 도형 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멈춥니다.엔트리 홈페이지(play-entry.org) ‘학습하기’ 코너에서 ‘오픈 강의’를 클릭한 뒤 검색창에 ‘수학동아 11월호’를 검색해 보세요! 그러면 대칭 프로그램을 조금 더 쉽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어요. 화면 구성과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변수가 기본으로 저장돼 있어 블록을 이용해 알고리즘만 ... ...
- [Editor’s Note] 화성 몽상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유인 탐사를 주제로 ‘과학동아’에 릴레이 연재를 했다. 국제우주정거장 임무가 종료된 뒤, 우주 선진국들이 주목하는 다음 주요 우주 임무가 화성 유인 탐사라는 정보를 듣고 만든 기획이었다.이번에 최지원 기자가 맡은 화성 특집은, 그 때보다 더 화성이 가까워진 상황에서 기획됐다. 유럽과 ...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연구팀은 여러 개의 멤리스터를 연결한 뒤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제어하면 향후 뇌의 작동방식과 닮은 인공신경망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이번 연구를 함께한 나노전자기학 더미스 프로드로마키스 교수는 “나노크기의 멤리스터를 ...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교수는 효모에 일부러 돌연변이를 일으켜 오토파지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효모를 만든 뒤 관찰해, 자가소포체 안에 세포 구성요소나 소기관들이 분해되지 못하고 쌓여 있는 것을 확인했다.1992년 오스미 교수는 효모에서 오토파지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학계에 보고했다. 이듬해에는 같은 방법으로 ... ...
이전4314324334344354364374384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