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부피가 늘어난 영역은 동물에서 새끼를 곁에 두고 몸을 핥아주는 행동에 관여하는
곳
으로 사람에서도 엄마와 아기의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육아 경험이 없는 여성도 좋은 엄마가 될 수 있는 건 이런 뇌의 변화 때문인지도 모른다.한편 새끼가 생기면 행동이 ... ...
PART 2. 교통사고·도난사고 모두 막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인적이 드문 시골에서 에어백이 터졌다면. 한밤중이나 새벽, 자동차 통행이 많지 않은
곳
에서 사고를 당했다면. 오랜 시간 방치하면 사망 사고로 이어질 일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운전습관 고치세요.”자동차가 운전자에게 하는 말이다. 스마트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차량 운행 정보가 모두 ... ...
[화성탐사 특별기획 2] 성큼성큼 화성 누비는 문어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소프트웨어 덕분에 이제 큐리오시티를 비롯한 차세대 로버는 앞을 내다보고 50m 떨어진
곳
까지의 경로를 계획한 뒤 커다란 바위 같은 장애물을 피해 이동할 수 있다. 켄타우루스, 로봇의 변신은 무죄윌콕스는 강연에서 “우주에서 단순히 인간과 로봇이 함께 작업하는 것은 구식”이라며 새로운 ... ...
2012 한반도를 습격하다! 말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집을 짓기 때문에 도심에 출몰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집 처마나 벽, 구조물 틈 같은
곳
에 집을 짓는 털보말벌이 도심에서 주로 목격되는 말벌이다. 털보말벌은 등에 털이 많다.“난 이제 지쳤어요, 땡벌 땡벌, 기다리다 지쳤어요, 땡벌 땡벌.”이런 재미있는 가사에 나오는 땡벌은 땅벌의 사투리다.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각 나라가 자기 입맛대로 만들기 쉬웠다”고 설명했다.지금도 왜곡이 적은 적도 가까운
곳
을 나타낼 때는 여전히 메르카토르 도법이 널리 쓰인다. 물론 변화도 겪었다. 원통의 축을 가로로 놓은 횡축 메르카토르도법이나 축을 45° 기울이는 도법처럼 필요에 따라 변화를 가한 도법도 등장했다. 횡축 ... ...
빛으로 터지는 폭탄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제거한다면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차에 올라 탄 은욱은 망원경을 설치하라고 명령한
곳
으로 급히 향했다. 과연 은욱은 위기에 처한 도시를 구해낼 수 있을까 ... ...
문화기술의 빛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기술부터 창작자와 관객의 소통을 강화해주는 기술까지 CT의 범주에 들어간다. 이
곳
에서는 11명의 이공계 교수와 2명의 인문예술계 교수가 협력해서 연구를 진행한다. 기술과 인문, 예술 분야에서 서로 협력해야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융합’의 대표적인 사례기도 하다.근육의 ... ...
감시탑을 가려라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Q 다음 규칙에 따라서 보기와 같이 장애물 블록을 설치하세요. 1) 네모칸으로 나뉜 지도
곳곳
에 감시탑이 설치돼 있습니다. 2) 감시탑이 있는
곳
은 숫자로 표시돼 있습니 ... 가로, 세로 방향만 볼 수 있고 다른 감시탑을 통과해 볼 수 있지만 장애물 블록이 있는
곳
은 통과해 볼 수 없습니다 ... ...
PART 1. 우리 시대 최고의 자동차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등 다양한 소재를 첨가한다. 자동차에서도 가장 강한
곳
은 엔진 하부의 프레임이다. 이
곳
은 가장 강한 초고장력 강판으로 만든다.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이 부분이 약하다면 엄청난 무게와 압력의 엔진이 운전자와 탑승자를 그대로 덮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초고장력 강판의 강도는 50 ... ...
광합성 하는 곤충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양은 극히 적었다. 주황색 진딧물은 햇빛이 많은
곳
에서는 ATP 분비가 활발했지만 어두운
곳
에서는 ATP 합성량이 줄어들었다. 햇빛을 많이 받으면 ATP가 더 많이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연구팀은 진딧물도 광합성을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연구팀은 “카로티노이드 분자가 모인 진딧물 껍질 0~40μm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