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특실 즈베즈다 도킹성공의 내막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미국의 모듈보다 더 많이 올라가기 때문에 러시아로서는 물러설 수 없었다.그러나
결국
돈을 쥔 미국의 요청을 거부하지는 못했다. 미국은 자국의 빌 쉐퍼드에게 우주정거장의 선장을 맡기기로 하고 러시아에게는 두명의 우주인 솔로브요프와 크리칼레프를 지목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자국의 ... ...
사이버 세계의 저항문화 안티사이트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법률적 해결이 필요한 안티사이트 스스로를 무력하게 만든다. 즉 법률적으로 해결하려면
결국
책임감 있게 소송을 할 사람이 필요한데 만약에 패소했을 경우에 오는 불이익까지 감당할 만큼 적극적인 사람이 네트워크 상에는 드물기 때문이다.힘을 모아 조직적인 연합체로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 ...
수학이 숨쉬는 곳 슈퍼마켓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요금에 관한 내용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www.korail.go.kr/sell/sell.html).생소한 말이 많지만
결국
킬로미터(km)라는 단위로 계산된 거리에 열차의 종류에 따른 요금을 곱하면 열차 요금이 결정된다는 말이다. 무궁화호를 이용할 때 서울역에서 출발해 몇개 도시까지의 편도 요금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 ...
시간 박물관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도움을 주고 있다."시간은 우리 몸에 다가오거나 멀어지는 듯한 상상으로 나타나고,
결국
의식에 의해 결정된다.우리가 시간을 측정할 수 있지만,그렇다고 해서 시간이 무엇이며 시간을 계량적으로 재는것이 과연 타당한가를 단언할 수 없다"는 움베르토 에코의 말처럼 시간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 ...
케플러와 그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신은 우주를 만들어낸 위대한 기하학자라는 믿음의 연장선에서 일궈 낸 정다면체 가설은
결국
실패했다. 하지만 인간은 수학을 통해서 우주를 이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신의 생각까지 읽을 수 있다는 그의 생각은 변함이 없었던 것 같다.티코 브라헤와 운명적 만남신교도에 대한 박해를 피해 ... ...
제임스 왓슨의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크릭 그리고 킹스 칼리지의 윌킨스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결국
과학 발견의 우선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였던 두 연구집단 모두가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이 과정에서 가장 불행한 사람은 프랭클린이었다. 1958년 38살의 젊은 나이에 백혈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이로 인해 ... ...
투명음료 광고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풍미’라고 말한다. 미과즙음료가 복숭아맛인 경우 복숭아향이 재료에 포함돼 있다.
결국
미과즙음료의 성분은 실질적으로 맛내는데 기여하지 못하는 약간의 과즙, 단맛 성분, 신맛 성분, 그리고 과일향으로 구성돼 있다. 단지 과즙은 사람들에게 천연과일 성분이 포함돼 있다는 좋은 인상을 주기 ... ...
1. 달러덩어리 가속기 왜 필요했나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경로를 갖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입자들은 링 중앙의 궤도로부터 점점 더 벗어나
결국
빔 파이프와 충돌해 없어진다. 이 현상을 막기 위해 가속시키는 동안 빔을 집속시키는 장치로 자석을 이용한다. 이때 빔 파이프는 운동 중의 입자가 다른 기체 입자와 충돌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 ...
모래시계에서 발견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큰 경우 작은 아치형 층을 형성하기엔 너무 커서 계속 위쪽에 머무르게 된다. 그래서
결국
한번 위로 올라온 큰 알갱이들은 다시 내려가지 못하고 맨 위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현상은 1831년 마이클 패러데이에 의해 처음 발견됐으나, 1백65년이 지난 1996년이 돼서야 그 전과정이 생생하게 ... ...
해프닝으로 끝난 상온핵융합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안에서 발생한 압력으로는 핵융합이 도저히 일어날 수 없다는 이론적 계산이 나왔다.
결국
폰즈와 프라이슈만의 상온핵융합 실험은 격렬한 논쟁 끝에 '공식적'이고 '정통적'인 과학계에서는 인정받지 못했다.한편 폰즈와 프라이슈만이 핵물리학자가 아닌 화학자였다는 점, 고온 핵융합에 이미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