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드라마 뿌리깊은나무 수학으로 다시보기!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일반적인 해법 세종이 집중했던 홀수차 마방진세종이 풀었던 마방진은 3차, 5차, 7차, …, 33차 모두 홀수차 마방진이다. 이 해법은 짝수차 마방진에서는 통하지 않는다. 이 드라마처럼 태종과 세종 두 왕의 통치 스타일을 비교하는 도구로 마방진을사용하려면 반드시 홀수차 마방진을 사용해야 한다 ... ...
- 서커스 최고 스타, 저글링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tip 저글링의 황금비는 3 : 4!미국의 수학자 피터 비크와 마셜 터베이는 3개, 5개, 7개의 공으로 저글링할 때 저글러들의 손과 공의 움직임을 분석했다. 그 결과 공의 개수와 상관없이 공이 손에 있는 시간과 공중에 있는 시간이 3 : 4로 일정할 때, 멋진 묘기를 부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 냈다.저글링, ... ...
- 선행학습보단 창의력! 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최연소 기록으로 합격한 이수홍 군도 이 곳 출신이다. 그는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2007년,2008년에 은상, 금상을 연이어 받았다. 또 전국 대학생 수학경시대회에서 수학 전공자들이 경쟁하는 제1분야에서 경쟁자 260여명을 제치고 최고 점수를 차지해 최우수상을 받기도 했다. 학생들의 재능을더욱 ... ...
- 인류 진화의 열쇠를 쥔 ‘손’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물체를 쥐려면 세 개의 손가락으로 물체의 여러 면을 모두 잡을 수 있어야 한다. 1977년, 동경 근처의 쓰쿠바에 있는 한 연구소에서 세 손가락 로봇 손이 처음 만들어졌다. 물건을 자연스럽게 잡았다 내려놓는 동작은 물론이고 연필이나 막대를 잡고 돌리기, 공을 튕기고 가느다란 막대기를 구멍에 ... ...
- INTRO. F1 신화를 수학으로 쓰다수학동아 l2011년 11호
- 계속되던 2011년 7월의 어느 날.“편집장님! 저희가 F1 대회에 참여한다고요? 시속 300km로 달리는 그 F1 말이죠?”“허허허, 난 자네들이 잘 해낼 거라 생각하네. 이참에 우리의 무기인 수학을 이용해 우승하면 되지.생각만 해도 신 나지 않아? F1 출전은 내 오래된 꿈이었다네. 자네들이 대신 이뤄 주게나 ... ...
- PART 1. F1에 도전장을 내다수학동아 l2011년 11호
- 그가 디자인한 F1 경주차가 종합우승한 사례가 7번이나 된다. 과연 올해도 뉴이의 RB7을 타는 레드불 팀이 종합우승할 수 있을까. 현재까지는 레드불 팀이 압도적으로 1등을 달리고 있다.수학과 F1, 왕도가 없다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가 수학에는 왕도(쉬운 방법)가 없다고 했던가. F1 역시 왕도가 ... ...
- 2011 제주 수학 축제, "나도 수학 사랑해마씸!"수학동아 l2011년 11호
- 함께 만들어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말했다.찰칵! 수학체험전 엿보기~!① 세계 7대 자연경관 선정기원 - 지오데식 돔, 시어핀스키 피라미드② 삼각형에 대하여 - 피라미드 높이 재기, 피타고라스 의자③ 수의 세계 - 산도르프 암호, 에라토스테네스의 체④ 곡선의 세계 - 나무젓가락을 이용한 쌍곡면 ...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1] 유리수는 모두 순환소수인가?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수보다 작다는 사실입니다. 100으로 나누면 나머지는 0부터 99까지의 수만 될 수 있고, 7로 나누면 나머지는 0부터 6까지의 수만 될 수 있습니다.이렇게 나머지가 될 수 있는 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몇 번 나눈 다음에는 이미 나왔던 나머지가 반복될 수밖에 없지요. 그 결과 소수로 나타낸 숫자도 ... ...
- 법정에 선 지진학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않아도 되는 것처럼 안심을 하게 만들었다면 과실을 인정할 여지가 있습니다.[2009년 4월 7일 이탈리아 지진 이후 열린 지진 언론 컨퍼런스에서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이탈리아 총리(왼쪽)와 귀도 베르토라소 도시보안책임자가 곤혹스러운 얼굴로 사건의 개요를 설명하고 있다.]그럼에도 ...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아무도 시도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추론은 말 그대로 가설로 남아 있었다.하지만 불과 7년 만에 사정이 바뀌었다. 성행위까지는 아니지만 실제로 여성의 주요 부위를 자극하고 이에 따라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fMRI로 확인한 연구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성감대를 포함한 여성 뇌감각지도 ... ...
이전4304314324334344354364374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