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와 '내가 말한 대로 생각한다'는 똑같은 뜻이 아니에요.Epilogue_
다음
순간 앨리스는 언덕 위에 누워 언니의 무릎을 벤 채 잠에서 깨어납니다. 지금까지 겪었던 모든 일이 꿈이었던 것이지요. 앨리스는 자리에서 일어나 자신이 꾼 이상한 꿈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이상하고 ... ...
Part1. 면발 맛대결 기계 vs 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알맞은 크기로 반죽을 나눈 뒤 저온에서 밤새 숙성시킨다. 반죽을 치대고 밟는 과정은
다음
날 아침에도 계속된다. 밤새 숙성시킨 반죽을 눌러 봤다. 손가락이 잘 들어가지도 않을뿐더러 누른 단면이 쏙 하고 다시 올라왔다. 쫀득할 정도로‘밀가루 속 단백질(글루텐)’ 조직이 치밀해졌다.반죽을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채취해 시험관에 넣고 배양하면서 아직 남아 있는 또 다른 알파갈 유전자를 마저 제거한
다음
이를 일반돼지의 난자에 주입하는 복제과정을 통해 부계와 모계의 알파갈 유전자가모두 제거된 돼지를 생산하려는 방식이다. 이 돼지가 태어나면 초급성 면역거부반응 문제는 거의 해결될 것으로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것이다. 이 교수의 e메일에서 기사로 쓸 수 있는 좋은 정보를 얻기도 했던 터라 은근히
다음
소식을 기다렸다. 하지만 지난 7월 오랜만에 받은 e메일엔 안타까운 소식이 담겨 있었다.‘지난해 가을부터 건강이 좋지 않았는데, 충분히 쉬지 않았던 까닭에 올 3월 전립선암 초기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 ...
나로 호, 우주강국 ‘궤도 진입’ 실패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003년까지 전 세계에서 집계된 로켓 실패 원인 가운데 분리 계통(12.6%)은 추진 시스템(66.2%)
다음
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나로 호의 경우 로켓 발사 시 가장 사고 확률이 높은 엔진, 연소실, 노즐과 같은 추진 시스템에선 별 문제가 없었지만 결국 분리 계통에서 문제가 일어났다는 얘기다.분리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사진 촬영에도 ‘흥정’이 필요하다. 한 아주머니에게 과일 하나를 좀 비싼 값에 산
다음
조심스럽게 초상권 허가를 받았다.재래시장에 나온 과일과 채소를 보니 모양이나 크기가 제각각이다. 시내 중심가에 있는 대형마트에 진열된 농작물도 사정은 비슷하다. 케냐 주민들의 주요 수입원은 ... ...
‘제8회 3M 청소년 사이언스캠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전, ‘돌이 날아가는 거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몇 가지 생각해 적어본
다음
, 직접 실험을 하면서 실제로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나가는 방식이다. 김 연구원의 말이 끝나자마자 학생들은 막대 길이나 당기는 각도를 바꾸면서 돌이 날아가는 거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측정했다.김 ... ...
Part 1. χ가 없던 시절에는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중국이나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였어. 중국의 주세걸이 1299년 펴낸 '산학계몽'에는
다음
과 같은 문제가 나와. 이 문제는 조선 영조시기의 실학자 황윤석이 쓴 책 '산학입문(이수신편 21권)'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今有 鷄兎 一百共足二百七十二雙 只元 鷄足二兎足四 問 鷄兎各幾何"(금유 계토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일식이 반복해서 일어나기 때문에 지금이 사로스 주기의 어느 때에 해당하는지를 알면
다음
에 일식이 언제 일어날지를 예상할 수 있다.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인 탈레스와 일식에 관한 일화는 유명하다. 메디아와 리디아라는 두 나라가 전쟁을 벌이고 있을 때 탈레스는 곧 일식이 일어난다고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키우기 시작했다. 그들은 키우던 작물 가운데 가장 좋은 것은 먹지 않고 남겨뒀다.
다음
해 식량을 얻기 위해 종자로 심으려는 의도였다. 바로 이것이 육종(育種)의 시작이다.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육종가는 이들 신석기인이다. 그들이 잡초와 같았던 작물의 조상을 지금처럼 농가에서 재배가 ... ...
이전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