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
타인
남쪽
남향
뉴스
"
다른사람
"(으)로 총 8,40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김영수 대한의료로봇학회 명예이사장(한양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보건복지부는 최근 의료기기에 대한 신의료기술평가와 보험등재심사 절차를 단축해 전체적으로 걸리는 시간을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새로 개발된 의료기술의 치료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평가와, 의료기기를 사용할 때 보험을 얼 ... ...
AI 이용해 단기기억의 내부 작용 밝혀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게티이미지뱅크 단기기억은 정보를 단기적으로 기억하며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조작하는 과정이다. 수초에서 수분까지 지속되기도 하며 장기기억으로 일부는 넘어가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사라진다. 일상에서 매일 단기기억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머리 속으로 암산을 하거나 누군가에게 전해 ... ...
머스크의 꿈이 현실로… 1만2000개 위성 띄워 ‘우주 인터넷’ 시대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초고속 인터넷 구축용 위성 60기를 탑재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이 발사되고 있다. AP/연합뉴스 '세계 모든 곳에서 고속 인터넷에 접속하게 한다'는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의 꿈이 현실화를 위한 첫발을 내딛었다. 머스크가 설립한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는 지난달 24일 미국 반덴버그 공군기 ... ...
무시무시한 늑대 장어의 머리
팝뉴스
l
2019.06.09
팝뉴스 제공 유튜브에서 화제가 된 영상 중 일부이다. 한쪽에는 늑대 장어(wolf eel)의 머리가 있다. 몸통에서 분리된 상태다. 다른 쪽에는 콜라 캔이 하나 있다. 늑대 장어의 입은 벌어져 있다가 콜라 캔이 입에 닿자 빠르게 물어버린다. 캔에는 구멍이 뚫리고 거품이 나면서 콜라가 분출된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좋은 일은 우연이고 나쁜 일은 내 탓인가
2019.06.08
외부 자극을 받아들일 때 각자의 '필터'를 통해 소화해낸다. 긍정적인 정서도 마찬가지다. 게티이미지제공 나쁜 일이 생기면 그 나쁜 일 자체가 우리에게 안 좋은 영향을 미칠 것 같지만, 문제는 거기서 끝이 아니다. 한 번 일어난 일을 수도 없이 ‘곱씹기(rumination)’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영구적으 ... ...
바다밑 미지를 스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엑스프라이즈재단 제공 1969년 7월 미국 우주인을 실은 아폴로 11호가 지구에서 38만㎞ 떨어진 달에 착륙한 이후 이제는 화성 유인 탐사까지 넘보고 있지만 정작 해수면 아래 세계는 아직도 미지 영역으로 남아 있다. 사람이 직접 눈으로 바다 밑을 볼 수 있는 최대 깊이가 수심 332m에 불과한 데다 심 ... ...
“외계행성 이름을 지어주세요”…IAU 100주년 국제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국제천문연맹(IAU) 창립 100주년 기념 로고. 국제천문연맹(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이 창립 100주년을 맞아 외계행성의 이름을 짓는 ‘IAU100 Name Exo Worlds 국제공모전’을 시작한다. 이번 국제공모전은 전세계인들이 참여한다. IAU는 각 나라에서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한 외계행성과 그 중심별 ... ...
화이자 관절염 치료제 치매 예방 효과 은폐 의혹 두고 과학계 공방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화이자가 자체 개발한 관절염치료 항염증 주사제 엔브렐이 알츠하이머 예방에도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견하고도, 막대한 비용이 드는 임상시험을 부담스러워 해 이를 의도적으로 덮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인류 복지를 위해 제약사가 해야 할 의무를 다하지 못했 ... ...
허젠쿠이가 교정한 '유전자편집 아기' 또 다른 위험 초래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허젠쿠이 중국 난팡과기대 교수. AFP/연합 제공 질환의 원인 유전자(DNA)를 효소로 잘라내 유전자를 교정하는 이른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이 중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지난해 11월 허젠쿠이 중국 난팡과기대 교수가 유전자 교정 아기를 출산시켜 생명 연구의 윤리 문제를 촉발시킨 데 이어 ... ...
'스마트시티는 미래 도시의 대안인가' 스마트시티MP·공학계 원로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19.06.05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세종 추진단 마스터플래너인 정재승 KAIST 교수가 3일 저녁 서울에서 열린 한국공학한림원 포럼에서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철학, 추진 방향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윤신영 기자 “도시는 국내총생산(GDP)의 75%를 담당하고 이 수치가 곧 80%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의 원천 ... ...
이전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