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짝 반짝 빛이 그린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귀한 재료로 파란 물감을 만들었다는
지난
‘그림 속 과학’ 이야기를 잘읽었나요? 그런데 아름다운 그림을 꼭 물감으로만 그릴 수 있는 건 아니에요. 때로는 알록달록한 빛이 물감보다 더 예쁜 그림을 만들어 주기도 하거든요. 이번 호에서는 빛이 유리를 통과하거나 반사되면서 만드는 신비로운 ... ...
대한수학회상 교육상·논문상 수상자 발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연구와 많은 인재를(석사 21명, 박사 15명) 양성한 공을 인정 받았습니다.한편 논문상은
지난
3년간 발표된 논문 중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학 발전에 기여한 사람에게 수여합니다. 논문상을 수상한 송용진 교수는 대수학의 군에 관한 연구를, 엄상일 교수는 그래프 이론과 관련된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갔다고 한다.냄새는 다른 자극보다 더욱 오래 기억되고 강렬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지난
2004년 미국 리더드 액설 교수와 린다 벅 박사는 인간이 냄새를 어떻게 감지하고 기억하는지를 밝혀 노벨의학상을 수상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향기 신호는 코의 옆부분에 있는 수천 개의 후각수용체를 거쳐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단말기를 희귀종인 슴새 10마리와 흰꼬리수리 등 13마리에 달아 경로를 추적했다. 그리고
지난
해 희귀종 슴새의 이동경로를 처음으로 밝혀냈다. 슴새는 3월~10월 우리나라에 머물며 번식하다가 동아시아 지역 무인도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위성 추적 결과 전남 신안군 칠발도에서 태어난 ... ...
마피아 조직의 싸움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 도형이 퍼즐을 해결하자 안토니오가 무언가 떠오른 듯 말한다. “이건 주소야!
지난
번에도 이런 일이 있었지. 계속해서 주소만 알려 주다니…. 무슨 꿍꿍인지 모르겠지만 일단 가 봐야겠군.” 3 코사노스트라의 은밀한 제안 “저 집이군. 그런데 여긴 콜레오네 패밀리의 저택! 코사노스트라가 ... ...
내 돈을 안전하게 지켜라!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것이지요.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여러가지 위험에 민감하고 더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지난
호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면 많은 돈을 벌 수도 있지만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손해를 피하려면 은행에 안전하게 정기예금을 하는 방법이 있답니다. 은행이 망하는 일은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등록원부에 기록된다. 특허권은 특허를 출원한 날로부터 20년만 유지된다. 이는 20년이
지난
기술은 신기술이라고 보기 힘들고, 그 정도 세월이 흐르는 동안 처음 기술을 공개한 기술자에게 충분한 보상이 이뤄졌다고 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허가 출원된 지 20년이 훨씬 넘은 이태리타올과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위성을 레이저빔으로 요격하는 ‘전략 방위 구상(SDI)’을 펼치고 있다.이뿐만이 아니다.
지난
해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2030년까지 우주에 태양광발전소를 세워 이곳에서 얻은 에너지를 레이저빔 또는 마이크로파 형태로 지구까지 끌어오겠다고 밝혔다. 넓이가 수km2인 태양전지판으로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수십억 년에 걸쳐 지속적인 풍화작용을 겪으면서 가장 거칠고 척박한 땅으로 변모했다.
지난
1억 년 동안에는 화산활동이나 빙하의 영향 없이 자연적인 침식만 계속됐기 때문에 대륙 전체가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는 서호주 내 국립공원지역 대부분이 기암괴석과 협곡으로 이뤄진 이유이기도 ... ...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조명을 자세히 보면 백색광 LED뿐 아니라 빨간빛과 파란빛을 내는 LED도 섞여 있다.
지난
4년 동안 시행착오 끝에 찾아낸, 식물이 자라는 최적의 빛 조합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안 이사는 “LED는 파장대가 좁기 때문에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조건을 찾기가 어려웠다”며 “일본의 경우 아직 LED를 ... ...
이전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