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d라이브러리
"
존재
"(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환자는 이를 진단할 수 있는 특별한 지표가 없어 암이 많이 진행된 말기상태에서 병의
존재
를 알았다.백 박사팀은 한국인 간암 환자 19명의 조직을 대상으로 프로테옴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조사 대상 환자 모두가 우리 몸의 철분을 담는 그릇인 ‘페라틴’이 깨져 있음을 밝혔다. 이번 연구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후 1661년 이탈리아 생리학자 말피기에 의해 동맥과 정맥을 잇는 모세혈관의
존재
가 확인됨으로써 완전히 증명돼 진리로 받아들여졌다.뱀독은 새로운 치료물질을 제공하기도 했다. 한 예로 2002년 11월 연세대 의과학과 정광회 교수는 까치살무사의 뱀독에서 암 전이를 억제하는 단백질인 ... ...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용, 대기의 ‘방해’를 반사시켰고, 그 결과 우리 은하 중심부에 거대한 블랙홀이
존재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우주배경복사’(CMB, Cosmic Microwave Background)의 변이를 측정하는 새로운 기술은 태초의 우주에 대한 좀더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목받았다. 고인류학에서는 인류의 기원을 3백만년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성운이다. 이 성운은 매우 밝아서 오래 전부터 이미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성운이
존재
한다는 사실을 전혀 몰랐던 과거에는 단지 하나의 별로 여겨져 다른 별과 동일하게 취급받았다. 오리온대성운도 독일의 요한 바이에르에 의해 오리온자리 세타(θ)별로 분류됐다.최초로 오리온대성운이 별과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그동안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을 것”이라 말했다. 언론에 밝히지 않은 실패된 복제아가
존재
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 ...
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요구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개인성의 존중이다. 여기서 개인성은 인간을 본질적으로 혼동되거나 교환할 수 없는
존재
로 인정한다는 것이다. 특히 우생학적 목적의 인간복제 행위는 개인성의 존중을 훼손한다는 점에서 유전적 속박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다.한편 인간복제는 인간사회와 가족, 그리고 복제에 ... ...
지구 위협하는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지구로 돌진하는 블랙홀이 발견되고 우리은하 중심에서 거대블랙홀의
존재
가 확증되고 있다.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을 만나보자. 또한 블랙홀이 내뿜는 중력파를 포착하려는 첨단기술도 살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지구 위협하는 우주의 검은구멍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 ...
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LIGO로 발전됐다. NSF의 예산이 테일러가 노벨상을 받을 무렵 확정된 것을 보면 중력파
존재
에 대한 확신이 서자마자 예산이 확정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또 한편으로는 LIGO의 발음이 ‘lie-go’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일부 반대자들이 애용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어쨌든 LIGO의 두 관측소는 1999년 1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원리로 이해될 수 있다고 한다. 즉 야후나 인천공항과 같이 중심이 되는 허브 단백질이
존재
하므로, 이 단백질에 문제가 생기면 생명에 영향이 있거나 질병으로 진행될 확률이 아주 크다는 것이다. 이처럼 네트워크 문제는 매우 복잡해 여러가지 아이디어와 첨단 기법을 동원한 연구가 중요하며, ... ...
청소년 등뼈가 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 모두 하나의 가설로만
존재
할 뿐이다. 연구자들은 지금도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척추 측만증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그렇다면 척추 측만증을 조기에 발견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측만증은 만곡이 진행되기 전 ... ...
이전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