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항바이러스 단백질이 에이즈를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밝혀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김 박사는 지난 9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신약 개발 협조 요청을 받고 본격적으로 에볼라 치료에 뛰어들었다. 에모리대 신약개발센터는 항바이러스제 등 전염병 연구와 치료를 선도하는 ...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그림에서 확인하시고 오디션이 끝날 때까지 응원해주시기 바랍니다.드디어 우승자를 발표할 시간입니다. 심사 기준은 ‘누가 가장 빨리, 가장 많은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가’입니다. 두두두둥~. ★5위★ 지맵 충격적인 결과입니다. 에볼라 사태 초기부터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히던 지맵이 가장 ... ...
- [과학뉴스] 전령RNA 사라지는 과정 규명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분해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새로운 효소와 과정을 찾아 학술지 ‘셀’ 12월 4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는 전령RNA의 분해과정에서 아데닌 꼬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왔다. 그러나 김 교수팀은 이전 연구에서 분해 과정에 아데닌 꼬리 외에 유리딘 꼬리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이번 ... ...
-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의 모래 언덕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토성의 위성이자 태양계 제2의 거대 위성인 타이탄. 그 동안 타이탄은 액체 메탄으로 된 비가 내리고 황사가 불며 지표엔 메탄 호수가 가득할 것이라고 예상됐다. 지표에는 유기물과 ... 조건에서도 충분히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12월 8일자에 발표됐다 ... ...
- [과학뉴스] 전쟁 때 태어난 남아는 건강하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시기에 태어난 남아가 평균보다 생존율이 더 높다고 ‘영국왕립학회보B’ 12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8세기 핀란드 교회 기록을 분석해 1790~1870년 태어난 신생아의 성비와 삶을 추적했다. 그 결과 어떤 이유에선지 특정한 16년 동안 남아가 여아보다 훨씬 적게 태어났는데, 이 때 태어난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취약해지의류의 특징인 공생 관계는 역사가 매우 오래됐다. 2005년 ‘사이언스’ 논문에 발표된 중국 화석에 따르면, 약 6억 년 전 얕은 바다에서도 조류와 남세균, 균류가 뭉쳐 산, 지의류와 거의 유사한 생물이 존재했다. 육상에 생명이 존재하기 전에도 지의류와 같은 생활양식이 진화했음을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밑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벨기에 출신의 르메트르 박사가 예전에 비슷한 내용의 우주론을 발표한 적이 있는데, 이번 허블 박사의 관측 결과는 이를 뒷받침하는 셈이지요.”┗ 경께서는 아인슈타인을 제외하면 상대성이론 최고의 전문가로 불리십니다.“그런가요? 하긴 내가 1923년에 낸 책 ‘상대성의 ... ...
- [과학뉴스] 슈퍼박테리아 잡는 항생제, 3시간 내 찾는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내성이 생겨 항생제가 듣지 않는 항생제내성균 일명 ‘슈퍼박테리아’는 의학계의 골칫거리다. 약을 써도 듣지 않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어 위험하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 ... 단축시킬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트랜스레이셔널 메디슨’ 12월 17일자에 발표됐다 ... ...
- [과학뉴스] 더 자연스러워진 ‘생각으로 움직이는 로봇 팔’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자유도(움직이는 축)를 기존 7개에서 10개로 늘렸다고 ‘신경공학저널’ 12월 1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환자가 로봇 팔 조절능력을 훈련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에 가상의 물체를 넣어 물건을 잡는 훈련을 시켰다. 환자는 이를 통해 팔을 더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었다 ... ...
- [과학뉴스]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 발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로 함시현 숙명여대 화학과 교수(아래 사진 왼쪽)와 임혜숙 이화여대 전자공학과 교수(가운데), 유향숙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명예연구원(오른쪽)이 선정됐다. 이학 부문 수상자인 함 교수는 치매나 암, 광우병 등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 응집 현상의 메커니 ... ...
이전4294304314324334344354364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