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미생물을 한꺼번에 검출해낼 수 있다. 게다가 읽어낸 유전자 서열로부터 항생제나 약제 내성과 같은 치료에 도움이 되는 귀중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이 기술이 널리 이용되기 위해서는 비용을 낮추고 분석 시간을 줄이며, 다양한 미생물의 DNA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축하는 등 몇 가지 ...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뱀의 눈’이라는 용어가 있다. 이름만 들으면 날카로운 뱀의 눈이 떠올라 왠지 어려운 내용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생각보다 쉽다. 바로 주사위 2개를 던졌을 때 둘 다 1의 눈이 나오는 경우를 뱀의 눈이라고 부르는 것이다.사실 뱀의 눈은 주사위를 던져서 하는 도박에서 유래됐다. 보통 ... ...
- 2013 지구사랑 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게시판에서 탐사대 등록 신청발표 2013년 2월 11일 과학특별시 홈페이지에 게재활동 내용우리 동네 쓰지 않는 가전제품, 휴대폰 수거와 같은 소소한 실천에서 가로수 어답터,수원청개구리 생태 분포 조사, 곤충 노래 생태지도 연구 등 엄청난 대형 프로젝트까지 함께 할 예정탐사대 혜택● 지구사랑 ... ...
- 아프리카의 아성에 도전하는 아시아의 인류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분야에서 기록을 내겠다는 속셈이지요.이렇게 세계 최고를 좋아하는 중국이 최고라고 내세우는 주장이 또 하나있습니다. 바로 인류의 조상이 중국에서 기원했다는 주장입니다.인류의 진화사를 조금이라도 안다면 코웃음을 칠 만할 일입니다. 이 코너를 통해서도 소개했듯, 최초의 인류는 최소 400만 ... ...
- 초파리 애벌레가 찾아낸 촉각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이번에 제 몸에서 찾은 단백질이 촉각의 비밀을 풀 중요한 열쇠가 될 거예요.앗 그렇다면 내 몸에도 혹시?이번에 찾은 단백질은 제 몸속에 있는 것 뿐이랍니다. 사람 몸에도 NOMPC 같은 단백질이 있는지, 또 NOMPC가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더 연구가 필요해요. 닥터그랜마도 지구 ... ...
- 달려라 달려! 2013 런닝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비슷하다고 해서내 이름이 방울뱀이야. 적이 나타나면 이 꼬리를 흔들어 방울소리를 내서 위협하지. 어때? 정말 멋진 소리지?런닝뱀 미션 ❸알 대신 새끼 낳는 뱀!이리 줘~. 흠흠. 원래 미션 발표는 제 권한이니까요. 자~, 다음 미션은 새끼 낳는 뱀이군요! 새끼? 알이 아니고요? 방금 태어난 코뿔소 ... ...
- 뱀 마을 아프리카 족장 비아미 젤무서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된다. 먼저 황금 코브라에 도착하는 사람이 이긴다. 뱀 마을 족장의 비밀“앗싸~, 내가 이겼다!”소리를 지르는 순간. 썰렁홈즈가 침대에서 굴러 떨어졌다.알고 보니 꿈을 꾸었던 것. 허무해서 멍하게 있는데 초인종이 울린다.“홈즈 씨 계세요? 택배예요.”‘누가 보낸 택배지?’ 썰렁홈즈가 ... ...
- 2013, 수학으로 머피의 법칙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법칙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그 사람을 꼭 만나 보고 싶어졌어. 왠지 그 사람을 만나면, 내가 머피의 법칙에 사로잡혔단 생각을 이겨낼 수 있을 것 같아.머피의 법칙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사람은 영국의 수학자, 로버트 매튜란 사람이야. 로버트 매튜는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상황을 ... ...
- 1화 수학 가디언즈, 첫 시공간 여행 출발!수학동아 l2013년 01호
- 그런 이유라면 나도 가 보고 싶은 곳이 있네. 일단 1000년 뒤로 가는 건가? 갔다가 내가 말한 곳으로 출발하지.”“네? 아무리 데카르트 님이라도 그렇게 마음대로 시공간 여행에 참여하는 건….”그때였다. 기계음이 울려 퍼졌다.“경고 경고! 추격자가 있습니다.”“으아~, 또 무슨 일이람 ...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다채로운 기능으로 새롭게 주목 받는 RNA, 그리고 아직 인류가 합성하지 못하고 있는 세포 내 기관 단백질들이 서로 정교하게 협력하고 있다.이중나선 구조가 발견된 이후 DNA는 생명의 설계도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유일한 주인공으로 군림했다.하지만 60주년을 맞은 오늘날, 이런 관점은 바뀌고 있다 ... ...
이전4294304314324334344354364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