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간"(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손바닥 안의 첨단 기술, 명함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사람을 많이 만나다 보면 서랍에 명함이 수북하게 쌓인다. 이를 간단히 정리해주는 비서가 있다. 바로 명함 인식 스캐너와 명함 인식 애플리케이션이다. 명함 스캐너를 컴퓨터에 연결한 뒤 명함을 한 장씩 넣어주거나 휴대전화 카메라로 찍기만 하면 끝이다. 이름과 직책, 전화번호가 따로 구분돼 ...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대학 입시에서 매해 증가하던 수시 모집 비중이 올해 더욱 커졌다. 고려대는 올해 입시에서 우선선발 조건에 해당하는 학생을 논술 100% 전형으로 선발할 계획을 밝혔다. 어느 때보다 논술이 입시 당락을 결정하는 열쇠가 됐다. 고려대 논술의 출제 경향과 변화사항을 체크하고 대비책을 살펴보자.고 ... ...
- 이스라엘의 퀴리 부인 아다 요나트 박사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프랑스에 퀴리 부인으로 유명한 *마리 퀴리가 있다면, 이스라엘에는 아다 요나트가 있어요. 아다 요나트 박사님은 1911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마리 퀴리처럼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답니다. 학창 시절 마리 퀴리의 전기를 읽으며 화학자의 꿈을 키웠던 그는 ‘이스라엘의 마리 퀴리’라 할 만한 ...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전 세계 해양생물종을 한 눈에 파악하는 종합 보고서가 처음으로 나왔다. 국제 해양연구기관인 해양생물 센서스(Census of Marine Life)는 2000년부터 지난 10년간 전 세계 바다 25곳을 조사해 만든 해양생물 보고서를 8월 2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학술지인 ‘플로스 원’에 발표했다.해양생물 센서 ... ...
- 중력은 없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내게 중력은 존재하지 않는다.〃누군가가 이런 말을 했다면 아마도 얼토당토않은 말이라며 시답잖게 들을 것이다. 지구라는 행성에 딱 붙어 살아가는 우리는 매순간 중력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으니까. 그런데 이 말은 7월 중순 미국 ‘뉴욕타임스’지의 기사에서 저명한 물리학자인 네덜란드 암 ...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지구에서 가장 별이 잘 보이는 곳은 어디일까. 문명의 불빛이 미치지 않는 곳, 칠흑 같은 어둠 속에 오로지 별빛만이 존재하는 곳, 가장 깊은 우주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곳. 그곳을 찾아 7인의 별밤지기들이 천체관측원정대를 꾸렸다. 관측지는 호주 천문학의 수도인 쿠나바라브란(Coonabarabran)이다.우 ... ...
- 작지만 강한 이자율의 위력수학동아 l2010년 09호
- 얼마 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 올려서 신문과 방송에서 커다란 뉴스가 됐어요.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가리키는 이자율을 겨우 0.25% 올린 것뿐인데 왜 그리 호들갑이었을까요? 이유는 이자율이 돈의 가치와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기준금리는 이자율을 움직이는 핵심 열쇠랍니다. ... ...
- 눈을 크게 뜨고 봐야 하는 통계수학동아 l2010년 09호
- “통계청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인구는 4888만 명이다”와 같은 발표를 들어 봤을 거예요. 통계가 뭐기에 통계만 담당하는 정부기관이 있는 걸까요? 이 말은 우리 생활에 통계가 중요하다는 뜻이겠죠. 과연 통계란 무엇일까요? 우리나라에는 여자가 많을까, 남자가 많을까? 10년 뒤 우리나라 인구는 ...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어른의 뇌에서는 신경세포(뉴런)가 죽어갈 뿐 새로 만들어지지는 않는다.〃지금까지도 상당수 사람들이 믿고 있는 이 도그마는 19세기 신경해부학자들의 관찰 결과를 토대로 한다. 뇌에서 기억이 ‘온전하게’ 보존되려면 신경세포와 그 연결망인 시냅스가 안정돼야 한다는 생각과 맞물려 이런 ...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미래에는 사람의 감성을 자극하는, 일명 스마트조명이 대세가 될 겁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머리 옆에 대면 심박이나 체온을 재거나 뇌파를 읽은 뒤, 조명에 정보를 보내는 거죠. 결국 조명은 사람의 기분에 따라 빛의 색깔과 조도를 바꿀 겁니다. 우울할 땐 밝고 따뜻한 색을, 화가 났을 때는 ... ...
이전4294304314324334344354364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