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뉴스
"
최대
"(으)로 총 7,07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생태계 지키는 2521명 뭉쳤다…지구사랑탐사대 7기 발대식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연말까지 운영될 제7기 탐사대는 지난해보다 400명 많은 2521명(753팀)이 지원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날 발대식에는 1300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참석했다. 지난해까지 6종이던 탐사대상 생물이 공생미생물과 개미 등을 더해 9종으로 늘었다. 특별 탐사 생물종도 6종에 이른다. 올해도 탐사대상 ... ...
[주말 고고학 산책] 우삼별초 도령은 어쩌다 택배사고로 상어를 받지 못했나
2019.04.27
부족해 해군 잠수사의 도움을 빌려야 했지만, 지금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아시아
최대
의 수중문화재 발굴선 ‘누리안호’가 있어서 걱정이 없습니다. 2012년에 취항한 누리안호에는 20여 명의 조사원이 20일간 체류하면서 수중 발굴조사를 할 수 있습니다. 바다 밑바닥에 가라앉은 선박도 ... ...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황제펭귄 무리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등 생태적 불안정성은 계속 높아질 것”이라며 “예측 연구 결과 21세기 말 황제펭귄이
최대
70%까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제펭귄의 군집. 사진제공 ... ...
출연연 만나 잘 나가는 중소기업 35곳의 성공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배터리의 음극재를 개발했다. 테라테크노스는 이 기술로 미국
최대
기술사업화 컨퍼런스인 ‘테크 커넥트’에서 기술혁신상을 수상했다. 테라테크노스가 개발한 음극재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개발한 ‘산화실리콘(SiOx) 나노분말 제조 기술’을 이전 받아 완성한 ... ...
반도체 칩 크기 한계를 뛰어넘는 고효율 네트워크 광스위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광집적스위치는 지금까지 알려진 광집적스위치 중 세계
최대
규모다. 기존에는 수십 개에 불과했다. 100여번에 그쳤던 기존의 광집적스위치보다 1만배의 속도를 낼 수 있다. 1초에 100만번 이상 입∙출력 연결을 재구성할 수 있는 셈이다. 석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소개된 ... ...
뇌 신경신호 읽어 ‘목소리’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먼저 뇌 표면(피질)에 흐르는 전기 신호를 읽을 수 있도록
최대
256개의 전극이 촘촘히 배열된 얇은 측정 장치를 개발했다. 어른 손바닥 반 크기가 채 안 되는 작은 장치다. 임 교수는 “뇌전증 환자는 치료를 위해 비슷한 전극을 뇌 표면에 붙이는 경우가 많다”며 “면역 ... ...
[의학게시판] 춘천 '당뇨인 걷기대회 행사'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식약처의 설립허가를 받아 정식으로 설립됐다. 본 협회는 스타트업부터 중견기업, 세계
최대
유전자 분석장비기업까지 다양한 규모의 회원사들이 체외진단기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뜻을 모아 국내 최초로 설립했다. 정점규 젠바디 회장이 초대 회장을 맡았다. 협회는 기술력이 우수하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녹지는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
2019.04.23
늘리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아울러 도시를 설계할 때부터 도심에 녹지 공간을
최대
한 확보할 수 있도록 유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시는 정신건강에 해로운 환경 조현병은 과거 '정신분열병'으로 불렸다. 약물로 잘 낫는 병이지만 '의심', '무기력' 증상은 치료의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 ...
‘아른아른’ 화면 빛반사 줄일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두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흡수하는 빛의 파장을 바꿔 표현할 수 있는 색의 버위를
최대
34%까지 높일 수 있었다. 홍성훈 ETRI 선임연구원(왼쪽)과 김수정 고려대 연구원이 메타물질의 박막두께를 조절하고 있다. 사진제공 ETRI 또 효율적인 제작 공정도 개발했다. 마치 물감을 뿌리듯 용액을 넓은 ... ...
에너지 생산하고 터치 감지하는 투명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성능을 높였다. 소자는 100mV까지도 무리 없이 에너지를 저장하고, 압력을 넣으면
최대
135V까지의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켰다. 여기에 터치 기능을 추가하고 투명도도 높였다. 터치 선세를 상층부 에너지 저장패널 바로 아래에 추가해 터치 기능도 가능하게 했다. 터치센서와 에너지 센서 사이에는 ... ...
이전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