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64건 검색되었습니다.
술도 많이 안 먹는데 “지방간입니다” 진단… 많이 당황스럽지요?
동아일보
l
2013.10.21
로 맞추고 손잡이는 상체와 팔 길이에 따라 옆에서 볼 때 몸과 팔이 직각이 되는 정도로
조절
하는 것이 좋다. 가급적 손잡이는 어깨보다 약간 넓게 잡고 어깨에 힘을 빼도록 하며 페달은 발끝과 발바닥 사이로 밟는 것이 좋다. 이진한 기자·의사 likeday@donga.com [화제의 뉴스] - 초속 30m ‘헬기 장풍’ ... ...
원숭이가 '예의없는' 인간보다 낫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0
소리를 내기 시작했던 것. 두 원숭이는 이렇게 대화 예절을 지키며, 목소리 크기까지
조절
하면서 30분 가량 대화를 이어나갔다. 연구에 참여한 아시프 가잔파 교수는 “마모셋원숭이는 상대방과 친근한 상태에서, 소리로 소통한다는 점에서 인간과 비슷하다”며 “어린 마모셋원숭이와 어미 ... ...
연구자와 농부의 정보공유가 식량문제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8
옥수수의 생장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점검해 물과 질소비료의 양 등 재배 환경을
조절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재배된 옥수수의 유전정보를 모아 새로운 형질의 옥수수를 만들어 내는 것. 최종적인 목표는 물이 부족한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고 비료를 적게 쓰고도 생산성이 높은 ... ...
차세대 총천연색 디스플레이 상업화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8
입자가 클수록 파장이 긴 빛을 발생시키는 특성을 지닌 나노 소자다. 입자의 크기를
조절
해 원하는 파장의 빛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다. 더군다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도 큰 면적의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 ...
장속 공생균이 해충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4
부산대 약학대학 이복률 교수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공생균은 숙주에 해를 끼치며 사는 기생균과는 달리 숙주와 함께 공존하며 좋은 영향을 주고 받는 좋은 균 ... 장호암 연구원은 "향후 공생균이 숙주에 독성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인을 찾으면 해충
조절
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가난하고 뚱뚱하다면? 암 2배 더 잘 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4
0대 때부터 체중
조절
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어렸을 땐 과체중이었지만 향후 체중
조절
에 성공한 사람들과 소득계층이 중간에 상승한 사람들의 암 발병률의 변화에 대해선 추가 연구를 해볼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 ...
선천성 빈혈 발병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3
억제하면 겸상적혈구빈혈증의 발병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를
조절
해 태아기 헤모글로빈 발현을 정상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10월 10일 네이처 표지 - 네이처 제공 고등학교 화학시간에는 ‘몇 개의 전자를 가져야 원자가 안정한가’에 대해 배운다. 친숙한 헬륨 ... ...
우울한 가을, '억지' 미소가 힘이 돼
동아사이언스
l
2013.10.13
유도하는 멜라토닌 분비가 늘면서 잠이 많아지고 무기력함도 지속된다. 여기에 체온
조절
을 관장하는 뇌의 ‘시상하부’ 능력이 일반인들보다 저하된 상태라면 계절성 우울증에 빠질 가능성은 더 커진다. 시상하부가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고 잘못된 명령을 내리면 ... ...
계절성 우울증 원인 “극복 방안이 햇빛?”
동아닷컴
l
2013.10.08
에너지가 고갈되고 활동량도 적어져 과식이나 과수면을 일으킨다. 특히 멜라토닌의
조절
에 혼동이 오면서 활력이 떨어지고 기분이 가라앉는 등 신체 균형이 깨지고 수면문제가 발생한다. 일조량이 감소하면 숙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의 분비가 증가하는 반면 행복 호르몬으로 알려진 세로토닌의 ... ...
알레르기도 알고보니 '비만'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신호전달기전에 중요한
조절
인자인 것을 알아냈다. 비만세포 내 프로히비틴을
조절
하는 화합물을 개발하면 알레르기 반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건국대 의전원 면역학교실 김혁순 교수는 "비만세포 내 프로히비틴의 작용으로 분비된 히스타민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혈관 ... ...
이전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