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이오"(으)로 총 5,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소한 차이까지 포착하는 암 진단 센서과학동아 l2018.07.18
- 한 개 차이까지 구별할 수 있는 고감도 센서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 5월 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마이크로RNA(miRNA)는 인간 세포에 2600개 이상 존재하며, 22개의 염기서열로 이뤄진 매우 작은 RNA다. 유전정보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암세포의 성장을 막아주는 ... ...
- 유전자가위 오작동 우려?...“크리스퍼는 과대평가됐다” 영국 연구팀 주장동아사이언스 l2018.07.17
- 잘라버려 유전체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16일(현지시각)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발표한 것이다. 크리스퍼-캐스9은 문제가 있는 목표 DNA에 찾아가서 달라붙는 ‘가이드 RNA’ 분자인 크리스퍼 단백질과, DNA를 자르는 가위 효소인 캐스9이 짝을 이룬 복합체다. 이를 ... ...
- ‘크리스퍼’ 응용해 피부세포를 줄기세포로 변형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07.06
- 방법을 알게 됐다”며 “현재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거의 보유하지 못한 생체 은행(바이오뱅크)에 줄기세포를 구축하게 하고, 각종 신체 조직세포로 분화시켜서 신뢰성 높은 환자맞춤형 조직을 만드는 데 응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뇌-유전자-우주의 비밀...스타 과학자 5人에게 듣는다 '사이언스 바캉스 2018'과학동아 l2018.07.06
- 진행된다. 올해 사이언스 바캉스는 과학책을 주제로,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등 스타 과학자 5명이 양자역학부터 우주까지 5개 분야 소개에 나선다. 네이버, 네이버문화재단, 한국뇌연구원이 후원하며, 강연은 당일 네이버TV ‘과학동아’ 채널에서 생중계된다. 정 교수는 ... ...
- 어르신 낙상 예방...노인 근육 감소, 혈액으로 조기 진단 동아사이언스 l2018.07.05
- 재활의학과 정선근 교수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바이오・의료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생물학 분야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프트 6월 5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日-中 빠진 '우리만의 리그'에서 아시아 과학 허브 한자리 차지?동아사이언스 l2018.07.01
- 세계에 보여주기에는 그 편이 더 적합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러지 않았다. 한국이 바이오 분야 강국이라는 사실이 영향을 미친 듯, 공교롭게도 두 선정자 모두 유전자가위(김진수 단장)와 마이크로 RNA(김빛내리 단장)라는 생명과학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하다못해 비슷하게 뛰어난 성과를 낸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금속 생명체 탄생 가능할까… 트랜스포머동아사이언스 l2018.06.29
- 동양방송(TBC)에서 1978년 ‘짱가의 우주전쟁’이라는 제목으로 방영한 바 있다. 이 밖에 바이오 로보트 짱가, 우주소년 짱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기자는 어릴 적 짱가를 TV에서 직접 본 기억은 나지 않는데, 철이 들 때까지 주위에서 울려퍼지는 짱가의 주제가를 듣고 자랐다. 운동회 응원곡 ... ...
- 1분에 뉴클레오티드 200개 연결, DNA 초고속 합성 과학동아 l2018.06.29
- 최대 200개 잇는 수준에 머문다는 한계가 있었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 조인트바이오에너지연구소를 이끄는 제이 키슬링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화학및생분자공학과 교수팀은 척추동물 면역계에 있는 DNA 중합효소인 TdT(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가 특정 뉴클레오티드와 결합한다는 특성에 ... ...
- 네이처 ‘동아시아 스타 과학자 10인’에 IBS 김진수·김빛내리 단장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8.06.28
- 을 개발한 린샨 리 대만국립대 교수가, 말레이시아에서는 △버려진 쓰레기를 자원화하는 바이오 연료를 개발한 수자나 유숩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공대 교수 △전염병에 대한 장내 기생충의 면역 반응을 규명한 이본느 아이 리안 림 말레이시아대 교수가 선정됐다. 다만 이번 동아시아 스타 ... ...
- 세계 최초 MRI 장갑과학동아 l2018.06.21
- 손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장갑 형태의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개발해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5월 4일자에 발표했다. New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제공 1. 미국 뉴욕대 의대 연구진이 개발한 MRI 장갑. 2. MRI 장갑을 착용한 왼손의 모습. 3. MRI 장갑으로 왼손의 뼈와 근육. 관절을 ... ...
이전4284294304314324334344354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