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인 SNP집합 지도 만든다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주도한 미국 NIH의 프란시스 콜린스 박사를 중심으로 게놈에 위치한 SNP의 위치를 조사해 일배체형 지도를 작성하는 국제 공동연구가 기획·진행되고 있다.현재 국제일배체형지도프로젝트(International Haplotype Map Project)는 다양한 집단에서의 일배체형 변이 패턴을 이해하기 위해서 여러 민족을 대상으로 ... ...
- 3. 유전자 조절 비밀 간직한 메틸레이션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전사를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실제 여러 종류의 전사인자들이 자신의 인식 부위에 위치하는 메틸화 CpG에 민감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최근에 좀더 명확한 메커니즘이 밝혀지고 있다(그림 2). 일단 DNA가 메틸화되면 이 부위에 메틸기와 결합(Methyl-Binding Domain, MBD)하는 단백질이 유도된다. ... ...
- 왜 수학이 의료장비 개발에 동원될까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임피던스의 분포를 영상으로 나타내면, 특별히 다른 전기 전도율을 갖는 암세포 조직의 위치나 크기 등을 알아낼 수 있다. 바로 이것이 전기영상기법이다. 전기영상기법은 X선을 이용해 유방암을 검사하는 기존의 유방촬영기보다 안전하고 저렴한 방법이라는 점에서 큰 관심 대상이 되고 있다.지난 2 ... ...
- 이모티콘 탄생 20주년과학동아 l2002년 11호
- 감게 하거나 천장을 보게 하면, 시각의 대상(代償)작용이 단절되기 때문에 시각 이외의 위치감각이나 운동감각, 미로감각이 장애를 받게 되어 몸이 심하게 흔들리고 쓰러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척수로(脊髓癆)와 같은 경우에 뚜렷이 나타난다 종단(終端)을 파동 저항으로 부하한 마름모꼴의 안테나 ... ...
- 사자자리 별똥별 쇼 올해가 마지막과학동아 l2002년 11호
- 극대시각에는 어떨까. 이 시간대에 우리나라에서는 아쉽게도 사자자리가 지평선 아래에 위치해 아직 떠오르지 않은 상태다. 결국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다.지난해의 경우와 비교해본다면 극대시각 전후 3시간 동안 대규모의 유성우를 볼 수 있고, 극대시각 전후 6시간 동안에도 어느 정도 ... ...
- 1. 급물살 타는 한국인 게놈 연구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염기를 해독해 HGP의 게놈지도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 인조염색체들이 게놈의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알아냈다. 그러므로 약 10만개 게놈 조각의 양쪽 5백개씩, 모두 1천개를 해독했으므로 모두 1억개의 염기를 해독한 셈이다.마크로젠은 한국인 BAC클론 지도를 토대로 한국인이 잘 걸리는 암과 고혈압, ... ...
-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옷과 꽃과학동아 l2002년 11호
- 불에 가까이 가면 온도에 따라 여러 변화를 보인다.상승기류의 위쪽 15cm에서 20cm 정도의 위치에서 페트는 70℃ 정도면 부드럽게 휘면서 고무상태로 되고, 1백20℃ 정도에서는 하얗게 변하며, 약 2백50℃에서 완전히 녹는다. 1백20℃에서 불투명 하고 하얗게 되는 까닭은 페트가 오그라들면서 불규칙한 ... ...
- PC 위협하는 e메일 바이러스과학동아 l2002년 11호
- 956년 G B 스페로들에 의해 11 α-아세트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에서 합성된 합성품이다 6위치의 메틸은 α 배위(配位)이다백색 결정이며 녹는점 232~240℃(분해)이고, 에탄올 · 아세톤에 녹기 어렵고 물 · 에테르에도 잘 녹지 않는다부신피질호르몬 작용, 특히 당질 코르티코이드 작용이 ... ...
- 재앙과 자원의 태양계 야누스 소행성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우리 이름을 가진 것도 있다. 1.5km짜리 위성도 갖고 있어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위치한 소행성의 경우 외행성 탐사선이 지나가는 과정에 덤으로 가장 먼저 근접탐사가 이뤄졌다. 최초의 탐사선은 1989년에 발사된 목성탐사선 갈릴레오로 1991년과 1993년에 3개의 소행성에 근접했다. 처음 ... ...
- 현실의 법의학 vs 드라마 과학수사대과학동아 l2002년 11호
- 비교·관찰해 똑같은 종류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또 여태까지 저격사건이 일어난 위치를 지리적으로 연결해 컴퓨터로 저격수의 은신처를 찾고, 이번 저격사건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탄도 흔적을 다른 범죄의 탄도자료와 비교하며, 미세물질 분석기술을 이용해 탄피에 묻어있을지 모르는 지문이나 ... ...
이전4284294304314324334344354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