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불과 얼음의 운무, 벌레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다른 형성 메커니즘이 존재함을 시사한다.이번 관측을 이끈 영국 맨체스터대 과학기술
연구소
의 천문학자 알버트 지즐스트라 박사는 “흥미롭게도 이곳에는 작은 먼지 알갱이를 핵으로 해서 광물과 얼음이 얼어붙어 우박처럼 존재한다”며 “이런 복잡한 조성을 보이는 천체는 매우 드물다”고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곳과는 달라야 할 것이다. 그런데 바르텔스와 제키의 실험에 앞서 프랑스 CERMEP
연구소
의 세르제 스톨레루 교수 연구팀은 이미 에로틱한 느낌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팀은 건장한 청년 7명에게 포르노 영화를 보여주며 PET를 사용해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를 조사했다.이때 활성화된 ... ...
KT대표이사 사장 이용경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통신 분야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파악하려고 도전했던 거죠.”1991년 그가 잘 나가던 벨
연구소
의 연구원 자리를 걷어차고 귀국한 후 KT에 연구원으로 입사했던 이유다. 물론 25년 간의 미국생활을 접고 시작한 한국생활은 여러모로 서툴렀다. 그래도 모든 일에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했고 연구결과를 ... ...
위성이 안전 착륙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2010년부터는 오로지 새로운 시스템으로만 운용해야 한다는 내용이다.한국항공우주
연구소
비행제어연구실장인 김종철 박사는 “국제민간항공기구의 권고사항을 따르지 않을 경우 항공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불리한 입장이 될 수도 있다” 고 말했다.1980년대부터 미국과 러시아가 각각 GPS와 ... ...
황사박사 전영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무엇인지를 뒤지는 거였어요. 그러다가 우연히 70년대부터 수치화된 황사기록이 기상
연구소
에 차곡히 쌓여있는 것을 발견했어요. 그때 ‘아, 이 데이터 쓰면 되겠다’ 싶더라구요. 이 데이터를 갖고 국내로 돌아와 97년 박사논문을 썼어요. 연구실 후배가 나보다 한해 먼저 이 데이터로 황사에 대해 ... ...
과학기술자 국회 진출 붐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한나라당)도 과학기술계 직능 비례대표로 꼽힐 만하다.지역구에서는 부산대 생산기술
연구소
전임연구원 출신인 조경태(열린우리당) 당선자와 해양연구원 책임연구원인 제종길(열린우리당) 당선자가 눈에 띤다. 공학박사인 조 당선자는 “이공계 출신으로 건설, 도시 분야의 예산낭비를 제대로 ... ...
바이러스 찾아내는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그 안에 든 바이러스들이 자신과 꼭 들어맞는 항체에 달라붙게 된다.영국 물리
연구소
가 발행하는 ‘나노테크놀러지’ 1월 20일자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나노칩에 달라붙은 바이러스는 원자력현미경으로 탐색해낼 수 있다. 원자력현미경에는 탐침이 붙어있는 나노미터 단위의 다이빙대가 있다. ... ...
남의 떡이 커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늘 그 사람의 상자가 더 가볍게 보인다. 영국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의 인지신경과학
연구소
의 안토니아 해밀튼 박사는 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해 ‘커런트 바이올로지’ 3월 22일자에 발표했다.연구진은 실험대상자에게 1백50kg과 7백50kg의 상자를 들게 하면서 다른 사람이 든 상자의 무게를 가늠하게 ... ...
사스 백신 미국서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바이러스의 DNA를 이용해 만든 ‘사스 DNA 백신’ 이 개발됐다.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
(NIAID) 백신연구실장 개리 네이블 박사는 과학전문지 ‘네이처’ 4월 1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최근 ‘사스 DNA 백신’ 을 만들어 쥐에게 주입한 결과 면역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고 밝혔다.‘DNA ... ...
천장 달라붙는 거미 모방한 포스트잇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거미가 천장에 찰싹 달라 붙어있는 방식을 모방하는 것.독일 기술동물학 및 생체공학
연구소
의 안토니오 카셀 박사가 스위스 취리히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거미의 발을 면밀히 조사했다. 이를 통해 개미가 어떤 벽이든 잘 달라붙을 수 있는 이유가 분자간 힘인 반데르발스 힘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 ...
이전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