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공포영화의 히로인이 될 확률이 높다(다음 장에서 실험으로 확인해보자).▼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이야기를 들려주마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 ...
‘키스하는 수병과 간호사’ 오후 5시 51분에 찍혔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상징하는 사진 ‘키스하는 수병과 간호사’는 유명한 만큼 논란도 많았다. 자신이 사진
속
주인공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만 10명이 넘었던 것. 그런데 최근 실제 주인공을 가려낼 수 있는 과학적 힌트가 발견됐다.미국 텍사스주립대와 아이오와주립대 연구팀은 사진이 찍힌 시간이 오후 5시 51분이라는 ... ...
바닷
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냉각시키면 유물
속
의 물이 고체 상태가 되는데, 그 이후 진공동결건조기에 넣으면 목재
속
의 수분이 진공상태에서 승화돼 순식간에 기체가 된다. 컵라면에 들어있는 건조 김치나 건조 계란도 이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을 쓰면 모양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1~2일이면 경화작업을 끝낼 수 있다.20년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심사숙고해 판단하며 사려 깊게 결정하는 ‘이성 시스템’도 있다. 정 교수는 “영화
속
설정은 감성 시스템에만 좌우되는 감정적인 인간으로 우리를 묘사하고 있다”고 말했다.감정이 모든 의사결정을 하진 않지만, 그래도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건 사실이다. 세계적인 심리학자 폴 에크만은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지난 20년간 후성유전학의 발전을 다음 파트에서 직접 만나보자. ▼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경향이 있었다. 18세기는 오늘날 만큼이나 탐식의 전성시대였던 셈이다. ▼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Intro. 대한민국을 지지고 볶는 탐식 열풍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Epilogue. 쿡방 열풍, 어떻게 ... ...
손목에 차는 구명 밴드 나왔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압축 이산화탄소가 든 카트리지와 풍선이 숨겨져 있다. 비상시 레버를 당기면 카트리지
속
이산화탄소가 급격히 뿜어져 나오면서 단 1초 만에 구명 풍선이 부풀어 오른다. 풍선은 몸무게 124kg까지 견딜 수 있으며, 6세 이상 누구나 착용 가능하다. 이 제품은 현재 개발 금액을 모으기 위해 ... ...
수백 년 도자기 묵은때 화학으로 벗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시간이 지나면서 습포가 바깥부터 마르는데, 그러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도자기
속
에 스며들었던 작용제와 오염물이 습포 겔 안으로 빨려 올라옵니다. 이후 표면의 습포만 제거하면 오염물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습니다. 도자기와 오염물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칠레 파라날 천문대에서 촬영한 은하수와 황도광. 사진의 오른쪽에 솟아오른 것이 황도광이다.서호주에서도 이와 비슷한 형태의 황도광을 볼 수 있다. 세 ... 우리가 만난 것은 138억 년 우주의 역사가 그려내는 아름다운 풍경이었다. 그리고 그 풍경
속
에 어우러져 있는 우리의 모습이었다 ... ...
밤마다 그린라이트를 켜는 귀신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밤에 책을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밝은 빛을 내는 버섯이 있어요. 바로 브라질의 코코넛 숲
속
에 사는 네오노토파누스 가드네리(Neonothopanus gardneri)이지요. 우리나라에선 주로 ‘야광버섯’, ‘귀신버섯’이라고 불린답니다. 그동안 귀신버섯이 왜 밤에 빛을 내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어요. 그런데 ... ...
이전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