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593건 검색되었습니다.
취임 2년 이용훈 UNIST 총장 "울산 제조업 '탄소중립' 혁신 이끌겠다”
2021.11.25
보육사업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AI와 탄소중립이라는 두 개의 무기로
기존
제조업의 고도화를 이끌겠다”며 “장기적으로는 울산을 넘어 부산과 경남 대구 경북 지역까지 이런 변화를 확산하는 게 목표”라고 강조했다. 이용훈 UNIST 총장.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이 총장은 이동 ... ...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유입 바다에서 실시간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5
대비하기 위해 분석과 감시를 해상에서 바로 정밀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됐다.
기존
에는 해상에서 채취한 물을 실험실로 가져가야 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었다. 지영용 한국원자력연구원 환경재해평가연구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국내 주요 연안에 고정 배치해 직접 시료를 채취하고 ... ...
KT SAT "빅데이터로 위성통신 품질관리"
연합뉴스
l
2021.11.25
통신상태를 유지하게 해준다. 운용자가 일일이 데이터를 분석해 간섭요인을 찾아내는
기존
방식은 간섭 발생부터 인지 시점을 포함해 분석 시간이 다소 길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이번 시스템을 도입하면 통신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선제적인 장애 대응이 가능하다고 KT SAT은 설명했다. ... ...
[과기원은 지금] 해수전지 기반 수소저장 시스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25
개발했다. 해수의 염분 성분인 나트륨과 물을 반응시켜 수소를 뽑아내는 시스템이다.
기존
알칼리금속 수소저장 기술은 한 번 반응한 금속의 재사용이 어려운 반면, 이 시스템은 해수전지가 지속적으로 나트륨을 재생해 사용할 수 있다. □ 포스텍 기계공학과와 IT융합공학과 공동연구팀이 얇은 ... ...
[매드사이언티스트2021] 전투병은 전쟁 소모품 오명 벗나...병사 생존력 높이는 스텔스 기술 개발중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미래전의 게임체인저를 주제로 진행돼 군 관계자와 연구자들 50여 명이 참석했다.
기존
육군 무기체계에서 스텔스 기술은 병사가 적의 눈에 띠지 않도록 하는 데 집중됐다. 적외선 카메라나 야시경 등이 나오면서 병사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병사의 몸에서 나오는 열로 방출되는 ... ...
델타변이 진단용 유전자 표준물질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개별 유전자를 정량했다. 그리고 이것을 특성값으로 하는 표준물질을 제조했다.
기존
표준물질은 유전자 합성을 통해 제작하지만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델타변이 표준물질은 실제 바이러스를 배양한 것이 특징이다. 전체 유전체를 100% 포함하고 있어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체 분석법 개발에도 ... ...
항암제 '시스플라틴' 암 세포 증식 막는 접착제 역할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세포 속 DNA와 결합해 세포의 신진대사를 방해하고 증식을 막는 원리다. 이 같은 현상은
기존
연구들에서 확인이 됐다. 다만 실험 기법의 한계로 실제 세포 속에서 일어나는 결합 과정은 비밀에 싸여 있었다. 연구팀은 세포 내 존재하는 DNA 대부분이 ‘크로마틴(염색질)’ 형태로 존재하는 점을 ... ...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발사 준비중 사고로 또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외계행성을 찾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의 발사가
기존
내달 18일에서 같은 달 22일 이후로 연기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2일(현지시간) 블로그를 통해 웹 망원경 발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사고로 발사일을 연기했다고 밝혔다. 사고는 JWST를 ... ...
[한 토막 과학상식]자이로스코프 정확도 4배 높이는 이론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활용해 자이로스코프의 정확도를 4배 이상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함 교수는 “
기존
양자센싱에서는 다중포톤 얽힘쌍 확보가 미해결로 남아 양자센서 적용이 어려웠고 CBW 양자센서에서는 간섭계 왕복경로 채택으로 라이다(레이저 레이더)와 같이 빛반사에 기초한 단방향 적용이 ... ...
한국형 인공태양 KSTAR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 30초 운전 세계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11.22
장벽(transport barrier)을 형성함으로써 고온의 플라즈마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성능을
기존
저성능 운전모드(L-모드)보다 2배 이상 높인다. 이와 유사하게 내부수송장벽 모드는 내부에 플라즈마 장벽을 생성시켜 플라즈마 성능을 고성능 운전모드 이상으로 확장시키는 차세대 운전 모드다. KSTAR는 ... ...
이전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