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뉴스
"
국립
"(으)로 총 6,247건 검색되었습니다.
[Science토크] 면역항암제는 암 정복에 장밋빛 미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세대 항암제 치료에서 이용되는 인체 속 T세포. 미국
국립
보건원
국립
알레르기및감염병연구소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3세대 항암제로 불리는 면역항암제 개발에 디딤돌을 놓은 과학자 2명에게 돌아갔다. 제임스 앨리슨(James P Allison) 미국 텍사스 MD앤더슨암센터 교수와 혼조 다스쿠(本庶佑) 일본 ... ...
남극 빙하 사라질 위기…韓·美·英 주도 국제 남극 프로젝트 시동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이 연간 2520억 t씩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밝혔다. 40년 전(연간 400억 t)보다 6배 이상 빠른 속도다. 얼음이 모두 바다 위에 떠 있는 북극과 달리 남극의 대륙 빙하는 바다로 유입되면 고스란히 해수면 상승으로 이어진다. 수십 년 ... ...
2040년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커피 못마신다…야생커피종 60% 멸종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덧붙였다. 미국
국립
과학원과 호주기후학회도 비슷한 연구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미국
국립
과학원은 지난 2017년 커피가 사라질 위험에 있다고 경고했다. 2050년까지 현재 커피를 키우는 땅의 절반 이상이 사라질 것이라 예측했다. 평균 온도가 2도 이상 상승하게 되면 중남미 커피 생산량이 88%까지 ... ...
"性소수자·생태 연구를 후원합니다" 소수연구 숨은 후원자 크라우드 펀딩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36%보다 높았다. 미국과학재단의 2014년 연구비 지원 선정률(23%)는 물론, 2015년 미국
국립
보건원(NIH)의 16%보다2~3배 이상 높았다. 남녀별 크라우드펀딩 특징 비교. 위가 남성 아래가 여성 연구자다. 여성 연구자가 목표금액(파란 막대)은 4분의 1가량 적은 대신, 성공률은 높고 모금액(빨간 막대)도 ... ...
25억년 전, 미생물은 황으로 호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데술푸리칸스(Desulfovibrio vulgaris)의 전자현미경 사진. -사진 제공 로렌스버클리
국립
연구소 국내 연구진이 황산염을 이용해 숨을 쉬던 25억년 전 미생물의 ‘숨결’ 흔적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심민섭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팀은 25억 년 전 퇴적암에서 당시 미생물의 호흡으로 발생한 미세한 ... ...
노동 생산성 하락에도 존재감…미세먼지의 '위엄'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노동자들의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알베르토 살보 싱가포르
국립
대 경제학부 교수는 중국 노동자들의 생산성과 미세먼지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생산성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3일 국제학술지 ‘미국 경제 저널, 응용 경제학 ... ...
정부 환경기준 강화 비웃는 미세먼지 '재앙'…‘(매우) 나쁨’ 일수만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환경 기준에 맞는 실효성 있는 미세먼지 저감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립
환경과학원에 따르면 2017년 한 해(12개월) 동안 서울의 일평균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기준치를 넘어선 단위면적(㎥)당 51㎍(마이크로그램, 100만분의 1그램) 이상인 '나쁨' 일수는 12일이었지만 ‘매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내는 데 뛰어나고 사람의 근육은 지구력이 필요한 활동에 알맞다. 지난 2017년 학술지 ‘미
국립
과학원회보’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같은 크기일 때 침팬지 근육은 사람 근육에 비해 1.35배 더 힘을 낼 수 있다. 침팬지는 상체가 발달해 있고 팔이 길고 근육량도 많아 힘이 사람의 두 배가 넘는다. ... ...
본조르노 MIT 교수 "기후변화 막기 위해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함께 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이날 열린 심포지엄에는 본조르노 교수 외에도 데이비드 프티 미국 아이다호
국립
연구원(INL) 연구원과 존 파슨스 MIT 슬론경영대학원(MBA) 교수가 참석했다. 그 외에도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를 비롯한 전문가 50여 명이 심포지엄에 참석했다 ... ...
15일 수도권에 또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첫 3일 연속 발령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뒤를 이었다. 이번 고농도 미세먼지는 대기 정체에 따라 더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국립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중국 북부지방에 자리한 고기압 영향권에 한반도가 들어가면서 대기가 계속 정체됐고, 중국 등 외부에서 유입된 미세먼지와 함께 국내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축적됐다”고 ... ...
이전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