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끼류 35종, 지의식물 25종, 해조류 51종을 발견했다. 후커는 새로운 생물 종을 찾다가 이상한 점을 느꼈다. 아프 리카 남쪽 끝 희망봉에서 유럽에서나 볼 수 있는 식물들을 발 견한 것이다.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식물 이었다. 또 히말라야 산맥이나 인도 반도의 고립된 산맥,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그 의도와 뜻을 읽어내는 것 같다. 세상이 관상가들로 넘쳐나도 할 말이 없다. 그 런데 이상하다. 현실이 그럴까. 얼굴로 성격과 감정을 파 악할 수 있다면, 우리는 왜 살면서 무수히 많은 오해를 할까. 왜 세상에는 사기 사건이 많고, 엇갈린 사랑이 느 는 걸까. 관상가는 왜 늘 사기꾼 취급을 받을까.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거부했다. 알고 보니, 집에서 3000km나 떨어진 곳에서 사용된 것을 카드사 중앙컴퓨터가 이상하게 여겨 자동으로 카드를 금지시켰던 것이다. 만약 K씨가 비상상황에서 주유를 하려다가 카드를 거부당해 목숨을 잃었다면, 중앙컴퓨터는 살인죄를 저지른 걸까. 돌봄 서비스 로봇은 종종 윤리적 딜레마에 ... ...
- [박경미 교수의 수학캠핑] 선행학습의 감옥에 갇힌 학생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도달하면 사람들은 상대가 내린 선택 하에서 자신의 선택이 최적이기 때문에 더 이상 선택을 바꾸지 않는다.내쉬가 실제로는 어디에서 영감을 받았는지 모르지만, 영화 속에서 내쉬는 금발 미녀를 둘러싼 남학생들의 심리적 역학관계에서 섬광 같은 아이디어를 얻는다. 어느 날 그는 네 명의 친구와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볼 수 있는 존재가 아니면 자신이 속한 우주밖에 볼 수 없으므로 확률이라는 개념이 이상해진다. 이런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점점 더 많은 물리학자들이 다세계 해석을 지지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그 지긋지긋한 양자 측정 문제를 간단히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는 그냥 슈뢰딩거 방정식에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시작했습니다.Q 수중 음향 연구는 어떤 곳에 활용되나요?A 우리는 우주를 모르는 것 이상으로 바다를 잘 모릅니다. 제대로 된 바다 속 해저지형 지도조차 없습니다. 수중 음향 탐사를 이용하면 바다 밑까지 직접 내려가지 않고도 바다의 지형을 탐사할 수 있습니다. 지형탐사는 바다를 연구할 때 가장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끌어 내는 능력이 20대 젊은이보다 더 좋았단다. 심지어 여성, 즉 할머니들은 60대 이상일 때 점수가 더 올라갔다지. 연구자들은 노인들의 뇌는 풍부한 경험과 통찰력으로 사물을 넓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고 결론내렸단다. 아주 마음에 드는 결론이야, 오호홍!우리가 기억을 깜빡깜빡하는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년 10호
- 하나가 길이라면 수 2개의 곱은 면적이고, 수 3개의 곱은 부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4개 이상의 곱은 기하학적인 해석이 불가능하다.물론 지금도 정수나 유리수의 세계를 넘어서 실수에 대한 직관을 키우려면 실수를 직선상의 점과 동일하게 여기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이런 시각적인 연습은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세드나’(2003년 발견)다. 태양에서 행성 궤도의 끝(해왕성 궤도)까지의 거리보다 3배 이상 먼 거리를 긴 타원 궤도로 돌며, 지름은 1000km 가까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명왕성보다는 훨씬 작다). 하지만 올해 3월 ‘네이처’에 드디어 두번째 천체가 발표됐다. ‘2012VP113’이라는 이름의 소천체는 201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후 우리 정부는 외국쌀을 의무적으로 일정량 수입했다. 작년 한 해만 쌀을 50만t 이상 수입했다. 국내 쌀 생산량의 10%에 해당한다. 최근 정부는 쌀 시장 완전개방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과연 고율의 관세로 언제까지 우리 쌀을 지켜낼 수 있을지 미지수다.값싼 외국 쌀의 공세에 맞서 한반도의 ... ...
이전427428429430431432433434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