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곳에서 떨어질지 예측할 수 없다. 다른 하나는 ‘유성우’로 어느 특정한 시기에 일정한
방향
에서 유성체가 한꺼번에 쏟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유성우는 별똥별 잔치라고나 할까.유성우를 잘 관찰해보면 어느 한점에서 사방으로 뻗어나가듯이 보인다. 이 점을 ‘복사점’이라고 부른다. 유성은 모두 ... ...
착시 노리는 패션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있는가에 따라 수평 분할의 효과는 달라진다.수평 줄무늬의 반복이 많아지면 수직
방향
으로 눈을 유도해, 넓어보이는 효과보다 오히려 수직으로 길어보이게 하는 효과를 낳는다. 더욱이 어떤 옷이라도 허리선이나 단선 등 굳이 의도되지 않은 수평선이 반드시 생기게 마련이므로 세심한 주의가 ... ...
블랙홀은 온돌에서 땔감 때우는 아궁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태워 서서히 방을 달구는 ‘온돌’에 비유될 수 있다는 얘기다.또한 블랙홀의 회전축
방향
으로 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을 승무(僧舞)에 비유해 ‘승무 프로세스(Process)’라 명명했다. 비록 머리에 쓰고 채를 돌리는 상모를 승무와 혼동하기는 했으나, 한국의 문화에 대한 그의 관심과 한국인에 대한 ... ...
① 철통 경계 미국 본토가 뚫린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대비하던 테러와 전혀 다른 것이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미국이 테러를 대비하는
방향
을 잘못 짚었다는 얘기다. 물론 이번처럼 납치한 민간항공기를 ‘자살 폭탄’으로 사용하리라고는 어느 누구도 예측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TV를 통해 항공기가 거대한 빌딩에 충돌하는 모습을 생생하게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휜 정도로 말이다.단백질이 최대로 풀리는 거리까지 탐침을 움직였으면 다시 반대
방향
으로 바늘을 움직인다. 이때 단백질이 잡아당기는 힘을 측정한다. 탐침과 기판과의 거리에 따라 측정된 힘을 그래프로 그려보면, 마치 톱니모양처럼 단백질을 끌어당길 때 어느 위치에서 많은 힘을 줘야 한다.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인류는 진화의 가능성을 영영 잃어버린 것일까. 아니다. 우리는 다른 곳에서 인류 진화의
방향
을 모색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문화의 진화다.문화의 진화를 다루기에 앞서 잠시 다른 질문을 하나 던져보자. 생명이란 무엇일까. 우리는 아직까지 그 해답을 밝혀내지 못했다. 우리는 단지 생명이 갖고 ... ...
가을밤에 만나는 밤하늘의 기준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가상의 점인 춘분점을 찾아보는 것도 매우 흥미롭다. 춘분점은 추분날 밤 12시에 정남
방향
에 위치한다. 추분날 자정 무렵 밖으로 나가서 하늘에서 춘분점을 찾아보자. 2000년 춘분점은 황도상의 별자리인 물고기자리에 위치해 있다. 물고기자리의 서쪽 물고기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다.춘분점을 ... ...
태양에너지 먹고 움직이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분석한 결과, 히페리온은 현장 실험 동안 만난 수천개의 장애물을 감지해냈고, 수만번
방향
을 교정했다”고 말했다.로봇연구소의 한 관계자는“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탐사로봇 기술은 행성 탐사 분야를 한차례 크게 도약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공룡이론의 격전장 쥬라기공원3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덕분에 쥬라기공원2는 티라노사우루스가 새끼를 찾아 헤매는 ‘자식찾아 3만리’로
방향
을 정하게 됐다.쥬라기공원3에 등장한 벨로시랩터의 집단사냥 장면도 관심을 끈다. 쥬라기공원1에서 단 두마리가 사람들을 공격했던 벨로시랩터는 2편에는 세마리, 3편에는 더 숫자가 늘어 대여섯마리가 ... ...
도대체 동서남북이 어디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천체의 표면에서만 정의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태양계의 동쪽’ 같은
방향
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실은 ‘태양계 위’, ‘태양계 아래’ 같은 개념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앞에서 위, 아래에 인용 부호를 계속 붙였던 것이다 ... ...
이전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