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뉴스
"
알
"(으)로 총 4,300건 검색되었습니다.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우즈의) 1977년 논문은 미생물 분야 아니 생물학 전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논문 가운데 하나다. 이 성과는 왓슨과 크릭(DNA이중나선 발견)이나 다윈(진화론 제안) ... 생물학을 공부할 때는 역사적인 배경부터 시작하세요. 현재 트렌드의 바탕을 이해해야 그 한계도
알
수 있으니까요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13일 독일의 재생가능에너지산업연구소(IWR)가 발표한 2011년 이산화탄소 배출 통계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지난해 전 세계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는 339억 톤으로 2010년에 비해 2.5% 증가했다고 한다. 국가별 순위를 보면 중국이 89억 톤으로 1위, 미국이 60억 톤으로 2위고 우리나라는 7억3900만 톤으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논문이 나가며 언론이 대서특필했다. 슈빈은 2008년 펴낸 책 ‘내 안의 물고기’에서 틱타
알
릭 탐사 과정을 흥미진진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 책은 2009년 한글판이 나왔다. ‘네이처’ 12월 6일자에 부고를 쓴 사람이 바로 슈빈으로 그는 자신의 스승에 대해 ‘촉’이 예민한 화석 사냥꾼이자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인산화효소를 비롯해 많은 단백질의 구조를 밝혔는데, 그녀는 단순히 단백질의 구조를
알
아내는데 만족하지 않고 이를 통해 생화학 반응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1976년 존슨이 톰 블룬델과 공저한 ‘Protein Crystallography(단백질 결정학)’은 이 분야의 고전으로 남아있다. 존슨은 1968년 28세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열었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인 발견을 선점하려는 유타대의 압력이 있었던 것으로
알
려지고 있다. 한편 존스 교수팀의 논문은 4월 27일자 ‘네이처’에 실렸다. 결국 순간의 비겁한 행동으로 그들의 연구조차도 의심을 받았고 결국 두 사람은 사기꾼으로 몰려 유타대를 떠났다. 1992년 프랑스의 ... ...
공대에서 경제학을 論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독감과 관련된 키워드를 검색한 빈도를 살펴보면 독감이 얼마나 유행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는 데에 착안했다. 실제 그해 2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대서양 연안 중부지역 주들에서 독감이 확산되고 있다고 발표했으나 구글은 이보다 2주 전에 네티즌들이 입력하는 키워드들을 분석해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아토피의 만연을 밀 탓으로 돌리기도 한다. 물론 쌀과 달리 밀은 일부 사람들에게 심각한
알
레르기를 유발한다. 하지만 분명한 건 밀은 쌀이나 다른 곡물은 줄 수 없는 독특한 식감과 풍미를 갖는 음식을 만드는 식재료라는 사실이다. 밀이 그토록 복잡한 식물이라는 게 왠지 더 어울린다는 생각도 ... ...
촛불 하나만 있으면 빙글빙글 멋진 모빌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매우 느리게 일어나 우리가 느낄 수 없는 수준이며 화석이나 지질 조사를 통해서만
알
수 있다. 겨울철 물고기가 얼어 죽지 않는 이유도 대류 때문이다. 물은 섭씨 4도에서 가장 밀도가 크다. 따라서 수면 온도에 상관없이 바닥은 항상 4도로 유지된다. 수면에 얼음이 얼 정도로 기온이 낮아져도 강 ... ...
세상에 나오면서 내 운명은 결정된걸까?
수학동아
l
2013.04.24
줄기세포 성형 등 마치 만병통치약처럼 쓰이고 있는 상황이다. 의사나 연구자들이나
알
고 있던 줄기세포가 어떻게 우리 생활에 이렇게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됐을까. 시간이 갈 수록 줄기세포를 소비하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다. 이럴 때일수록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거짓인지, 허와 실을 구분할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말에 대해
알
아보다 생물이 염색체 개수가 달라도 한 종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걸 처음
알
았다. 참고로 당나귀는 염색체가 62개(31쌍)다. 따라서 말과 당나귀 사이에 태어난 노새나 버새의 염색체가 63개(말에서 32개, 당나귀에서 31개를 받으므로)인 것처럼 말과 프르제발스키 말 사이에 태어난 ... ...
이전
426
427
428
429
430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