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활성화시켜 항원을 가지고 있는 암세포를 죽인다. 결국 펩타이드 백신은 단백질 조각을
직접
넣고 DNA 백신은 단백질 조각을 만드는 유전자를 넣는 것이다.수지상세포(DC)를 배양해 암세포(항원)와 함께 넣는 방법도 있다. 수지상 세포(DC)는 암세포(항원)를 세포 안으로 잡아들인 뒤 항원 펩타이드를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중요한 허브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둠벙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직접
보여 드리죠.”김 실장과 최 박사가 큰 잠자리채처럼 생긴 채취도구와 시료병을 들고 나섰다. 채취도구로 수생 식물이 있는 곳 부근의 물을 긁듯이 퍼 올리자 그물에 민물새우와 잠자리 유충 등 손톱보다 작은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몸을 비비고 있어요. 순대는 몇 시간 이상 자신을 바라보거나 만져주지 않으면 이렇게
직접
와서 졸라대는 능동적인 고양이입니다. 제 무릎에 올라오거나 얼굴을 비벼주는걸 좋아하며 손 밑에 머리를 넣는 것을 좋아해요.낭낙이가 ‘물어와’를 잘하는 것처럼 순대는 사냥의 귀재입니다. 특히나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필요한 초석”이라고 말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앞으로 어떻게 진화하게 될 지를
직접
보여주었기 때문이다.세계보건기구(WHO) 역시 이러한 연구 자체를 막는 것은 옳지 않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연구 결과를 대중에게 전부 공개해도 되는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생물학 테러의 ... ...
“내 꿈은 내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런 영상을 보고 관련된 책을 읽으면 영상이 떠오르면서 책이 더 이해가 잘돼.
직접
경험해본 분야에 관한 글은 읽을 때 이해가 더 잘 되듯이 다큐멘터리로 간접경험을 한 분야도 책을 읽으면 더 재밌어.”4년 후면 대학에 들어간다. 지금부터 준비해야 4년 후에 웃을 수 있다. 영상독서이건 실제 ... ...
미션! 공룡의 흔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소식을 들었어.장예원 기자 : 맞아! 올해 8월에 광주에서 열린다고 하던데! 그럼 우리가
직접
광주에 있는 전남대학교 한국공룡연구센터에 가서 이 미션을 반드시 해결하자!어! 그런데 저건 뭐지? 저기 동그란 것들이 혹시 공룡의 흔적?흔적1 알의 모양공룡 알껍데기의 두께는 보통 2㎜로 달걀 껍데기 ... ...
페름기 대멸종 시베리아 화산 때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조사해 발표한 것이다.이번 연구 결과로 시베리아 트랩의 화산 폭발이 페름기 대멸종의
직접
적인 원인일 가능성이 더욱 커지게 됐다. 대기 중 유황 입자는 태양열을 우주 공간으로 반사하며 지구를 냉각시킨다. 염소 등 할로겐으로 통칭되는 비금속 화학물질도 성층권의 오존층을 심각히 훼손했을 ... ...
인공지구야 돌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재현해 낼 수 있는지도 관심이 커. 이런 일들이 나타날 때 내 속에 있는 진짜 외핵은
직접
관찰할 수가 없지만 다이나모3m 안의 액체 나트륨의 움직임은 초음파 투시기와 내부의 압력센서로 똑똑히 관찰할 수 있다고.이게 무슨 소리냐고? 지구의 N극과 S극은 자전축 위에콕 하고 박혀있지 않아. 지금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예를 들어, 몸속 세포 하나하나의 움직임까지 볼 수 있다면 어떨까.움직이는 세포를
직접
보고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이미징’은 요즘 의료 분야의 화두다. 최근에는 나노기술이 접목되면서 세포나 분자 수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영상으로 또렷이 보는 게 가능해졌다. 세포와 결합해 영상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넣어 구조를 분석해볼까 했는데 MCM-41을 구할 수가 없더군요. 고민을 하다가 저희가
직접
합성해보기로 했습니다.”물리화학자로 구조분석만 해온 유 교수가 다공성 물질의 합성에 뛰어들었다. 나이 마흔이 돼서야 처음 새로운 분야에 도전해 독자적으로 실험을 설계한 것이다. 막상 부딪쳐보니 ... ...
이전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