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으로 갈 데까지 크리스마스 파티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바로 황금비다. 자연수로 바꾸면 3:5, 혹은 5:8에 가깝다. 주변에서는 명함, 신용카드, 사진 등에서 바로 이 비율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TV나 모니터에서 가로:세로의 비율을 황금비의 근사값으로 사용한다.건축물이나 직사각형 사물에서만 황금비를 사용하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레오나르도 다 ... ...
- 가장 섬세하고 에로틱한~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뼈라는 말을 들으면 뭔가 무겁고 둔탁하다. 그런데 가장 자유로우면서도 섬세한 뼈가 바로 손가락뼈, 발가락뼈다. 감각신경이 많이 있어 가장 민감한 뼈이기도 하고, 그래서 에로틱한 뼈이기도 하다. 손가락뼈의 가장 큰 특징은 마디마다 달려 있는 관절이다. 손가락마디뼈와 손목뼈에는 윤활관절 ... ...
- 단백질 어떻게 보시나요? 3D로 봅니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엄수현 GIST 생명과학부 교수와의 인터뷰에 앞서 연구실을 잠시 들렀을 때 기자를 깜짝 놀라게 한 것이 있었다. 연구원들이 극장에서 3D 영화를 볼 때나 쓸 법한 검은색 편광안경을 쓰고 컴퓨터 모니터를 보고 있었다. ‘혹시 보안경인가?’ 하고 갸우뚱했지만 정말로 3D 영화를 볼 때 쓰는 그 안경이 ... ...
- 2012 올해의 과학책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우리나라에서는 창조과학 관련 단체의 요구로 고등학교 생물학 교과서 일부에서 시조새(사진)와 말의 진화 내용이 빠지는 사태가 벌어지고, 이 내용이 ‘네이처’에 보도되면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 단체는 11월, 지구과학의 동일과정설(모든 지질 현상은 과거에도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 ...
- 수학 능력을 향상시키는 놀라운 동작인식 게임!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최근 몇 년간 동작인식 게임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동작인식 게임은 조종기를 움직이지 않고 직접 몸을 움직이는 게임 방식으로, 각종 스포츠와 댄스를 게임으로 즐길 수 있어 온 가족이 함께 즐기는 게임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런데 최근 수학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동작인식 게임이 등장해 ... ...
- 천재수학자의 완벽한 알리바이 용의자 X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아무도 못 푸는 문제를 만드는 것과, 그 문제를 푸는 것 중 어떤 게 더 어려울까?”평범한 고등학교 수학교사인 석고(류승범 역)는 시험문제를 어렵게 내기로 유명하다. 서로 다른 영역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문제를 만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함수 문제를 마치 기하문제처럼 보이도록 함정을 ... ...
- Part 4. 검은 태양이 유혹하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태양이 달에 완전히 가려지는 장엄한 우주의 드라마를 보면 누구나 태양의 매혹적인 아름다움에 최고의 찬사를 보낸다고 한다. 나도 그러기를 기대하면서 호주 개기일식 탐사를 준비했다.2012년 3월 천체관측자들의 모임인 야간비행(www.nightflight.or.kr)에서 탐사 원정대가 조직되었다. 개기일식과 더 ... ...
- 서경대 컴퓨터과학과 - 컴퓨터과학은 서경대가 진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내 손 안의 스마트폰, 책상위의 컴퓨터. 이 둘의 공통점은? 바로 컴퓨터과학이 쓰인다는 점이다. 정보화 사회의 핵심, 컴퓨터과 학을 공부하고 싶다면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서경대 컴퓨터과학과를 눈여겨보자. 내 손으로 직접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SNS를 구축하는 것, 직접 최고 인기 앱을 만드는 ... ...
- 마우스 병원, 마음을 치료하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마치 죽은 것처럼 축 늘어져 있었다. 그야말로 별로 살 의지가 없어보였다. fMRI로 찍은 뇌 사진도 전형적인 우울증 상태를 보여줬다. 사람이 먹는 항우울제를 먹으면 우울한 쥐의 활동량이 다시 늘어난다.카사하라 박사는 조울증 치료법을 찾기 위해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지난 2008년에는 돌연변이 ... ...
- 양날의 칼, 나노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설계하는 것이 혹시나 너무 먼 미래의 이야기는 아닐까. 최 교수는 알록달록한 한 장의 사진을 보여주었다. 꽃잎 같기도 하고, 벽지 무늬 같기도 한 그림의 정체는 나노 크기의 입자를 쌓아올린 모습을 촬영한 것이었다. “아직은 단층구조이지만 점차 좀 더 복잡한 복층 구조를 만드는 것이 연구단의 ... ...
이전4264274284294304314324334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