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1
일
싱글
혼자
독신
단위
단원
스페셜
"
하나
"(으)로 총 3,05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미터 크기 백신 실험실·감염병 조기 알아내는 AI 경보기…다음 팬데믹을 준비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8
보고 있다.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기생충 등 인간이 감염될 수 있는 병원체 약 1400종 중
하나
가 언제든 더 심각한 팬데믹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전망이다. 열대 지방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바이러스가 약 160만개나 있을 것이란 연구 결과도 있다. 산림 개간과 같은 인간 개발 활동으로 야생동물과 ... ...
치매환자가 자꾸 조는 이유는 '뇌 속 알람시계' 퇴화
동아사이언스
l
2022.04.07
사실을 알아냈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낮동안 졸음이 자주 나타나지만, 파킨슨병 중
하나
인 PSP를 앓는 환자는 밤에도 수면이 부족하다. 연구팀은 이들이 살아 있을 때의 뇌파검사와 수면다원검사 결과 데이터와, 사후 뇌간 시상하부 조직을 관찰한 결과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알츠하이머병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학계를 떠나는 과학자들
2022.04.07
최고의 명문대 중
하나
인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리사 귀나이든 교수의 트윗
하나
가 많은 연구자들 사이에 회자됐다. 그는 페이스북 창업자인 마크 저커버그가 만든 챈-저커버그 재단이 후원하는 연구자로 지정될 정도로 뛰어난 과학자다. 그러나 그는 미국립보건원(NIH)이 지원하는 ... ...
방역당국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쪽 가닥…마스크 의무화 해제는 '아직'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며 "거기에 따라서 사회·경제적인 대응이나 혹은 의료대응에 있어서의 특수체계를
하나
씩 일반체계 쪽으로 전환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거리두기 기간 동안 신규 확진자 감소세가 지속되면 이르면 이달 18일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 외 방역조치가 모두 사라지는 게 아니냐고 ... ...
화이자·모더나로 끝나지 않는다…멈추지 않는 새 mRNA백신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은 글로벌 팬데믹에서 벗어나기 위한 돌파구 중
하나
였다. 다른 플랫폼의 백신에 비해 부작용은 크지 않고 예방 효과가 좋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가 개발한 mRNA 백신의 약점은 가격이 비싸고 극저온에서 보관해야 한다는 점이다. 백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제공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3월호에는 육배체 빵밀의 조상 종 가운데
하나
로 마지막에 합류한 염소풀 타우쉬이 242개체(유전자원)의 게놈을 해독해 빵밀의 품종개량에 도움이 될 유전자를 여럿 찾았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타우쉬이는 서남아시아의 넓은 지역에 자생하고 있고 ... ...
거리두기 지켜가며 코로나 대유행 이겨낸 한국인들 얻은 건 겨우 '이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죽어버리겠다', '죽을까'처럼 형태는 조금 다르지만 동일한 뜻을 가진 단어는 '죽고 싶다'
하나
로 묶였다. 그 결과 코로나19 대유행 동안 우울증 관련 단어 검색량이 실제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대유행 전과 비교해 특히 '죄책감'과 '죽고 싶음'의 상대 검색량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 ...
한국 위성 개척자 고 최순달 교수·정약용 호 다산 등 한국 달궤도선 명칭 최종 후보에 올라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공식명칭 후보에 올랐다. 또 조선후기 대표 실학자 정약용 선생의 호 '다산'도 후보 중
하나
에 올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8월 발사될 KPLO의 이름으로 쓰일 달탐사선 명칭공모전 응모작 가운데 '최순달'과 '다산'을 포함해 10개 이름이 최종 후보에 올랐다고 4일 밝혔다. ... ...
[탄소중립 연속기고] 미세먼지 감축에 대한 공감대, 탄소중립으로 잘 연결해야
2022.04.04
줄 것이다. 한국에서도 미세먼지는 국민을 불안에 떨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
로 떠올랐다. 좁은 면적의 한반도에 인구밀도가 높고 많은 산업시설이 집적화가 되어 있으며 1인당 에너지 사용량도 상당히 높아 미세먼지 농도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 산업화가 급격히 이뤄진 중국 ... ...
[지구는 살아있다]제주도 우도에는 구르면서 자라는 돌이 있다
2022.04.02
물어봤습니다. 홍조단괴를 만드는 주인공은 얕은 바다에서 광합성을 하는 해조류 중
하나
인 홍조류입니다. 우리가 자주 먹는 김도 홍조류에 속하지요. 홍조류 중에서는 산호나 조개처럼 딱딱한 탄산칼슘(CaCO₃) 성분의 광물을 만들어서 자신을 보호하는 ‘석회조류’가 있습니다. 동해안이나 제주도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