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시
멸시
냉대
경멸
업신여김
모멸
도외시
스페셜
"
무시
"(으)로 총 4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가정하는 것처럼 합리적인 것도 아니고 시장과 기업, 법률 같은 제도가 미치는 영향을
무시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업에서 의사결정은 가격 메커니즘에 따라 이뤄지는 게 아니라 윗사람의 결정에 따른다는 것. 코스는 사실상 위의 두 논문, 즉 1937년과 1960년 발표한 연구업적으로 1991년 ... ...
감기,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1.18
없는 게 평소에는 평범한 감기 증상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경우도 어느 날 갑자기
무시무시
한 변종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03년 전 세계를 긴장시켰던, 치사율 10%에 이르는 사스(SA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의 원인 바이러스가 바로 변종 코로나바이러스다. ●손 씻고 마스크 쓰는 게 ... ...
하루키의 귀환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25
이미 미국 유럽 러시아 중국까지 세계 40여 개국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누구도
무시
할 수 없는 국제적인 거물작가가 된 것이다. 초기 그의 작품이 해외로 소개되자 동양의 신비한 문학 세계를 기대했던 해외 평론가들은 햄버거 하나를 먹은 것 같다며 동양적 정체성의 부족에 대한 쓴소리를 했다. ... ...
서번트 증후군, 놀라운 기억력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3.09.16
때 새끼손가락이 가려져 안 보이더라도 ‘사람 손가락은 다섯 개’라는 개념이 관찰을
무시
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기도 모르게 손가락이 다 보이는 손을 도식적으로 그린다는 것. 그렇다면 좌뇌를 무력화시키면 그림을 더 잘 그릴 수 있다는 말인가. 정말 그렇다. 우뇌에 대한 좌뇌의 ... ...
[웹툰] 던전 & 드래곤
KOITA
l
2013.09.11
들어갈 동료들로 구성된 파티(party)를 꾸려 던전으로 쳐들어갑니다(?). 언젠가는 그
무시무시
하기만 했던 던전에서 빛나는 칭호(타이틀)을 얻으리라 기대하면서 말이지요. 그러는 사이에 저희들은 어느새 만렙(최고 레벨)에 도달한 이 세계 최고의 용사들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글 보내 주신 분. ... ...
친환경의 키워드, 물과 바람
KOITA
l
2013.08.23
되었다. 이전까지 건축물 전체를 지탱하는 일부였던 벽을 구조적 제약을 거의 완전히
무시
하면서 자유로이 배치하거나 다양한 소재를 실험해볼 길이 열린 것이다. 유리 소재를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유리로 만든 건축물도 점차 규모가 커졌다. 1970년대의 후기 모더니즘에 이르면 페이(I. ... ...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아무튼 어른은 구조적으로 젖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게 디자인돼 있고 이를
무시
하고 우유를 마시면 젖당불내증(lactose intolerance)라는 증상을 보인다. 즉 우유를 마시고 얼마 지나지 않아 속이 부글부글 끓고 복통과 설사 때로는 구토를 하기도 한다. 반복되면 염증성장질환으로 이어질 수도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라는 말을 들으면 속으로 ‘먹은 걸 꼼꼼하게 적으면 그렇게 말하지 못할걸’이라며
무시
했다. 물론 최근 장내미생물의 조성이 비만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나왔지만 아무튼 주된 변수는, 섭취한 칼로리와 체중은 비례한다는 물리법칙이라고 생각했다. 사실 오늘날 영양학의 관점 역시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관점에서는 그냥 세균일 뿐”이라는 것이다. 원핵생물과 진핵생물 사이의 엄청난 차이는
무시
한 채 두 가지 세균의 미미한 차이를 강조하는 건 이해할 수 없고 따라서 “3역 분류체계에서 어떤 이점도 찾을 수 없다”고 결론짓고 있다. 그러나 마이어에게는 미안한 일이지만 21세기 들어 생명과학 ... ...
“효율적인 연구인력 관리가 성과의 지름길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09.08.18
쉬운 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대전 뿐 아니라 한국 전체 연구원 수가 줄고 있는 현실도
무시
하지 못한다. 힘들고 지위조차 불안정한 연구원을 꺼려하는 학생의 수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그나마 연구에 꿈이 있는 학생은 유학을 먼저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 정 교수의 설명. 하지만 학생들이 무조건 ... ...
이전
38
39
40
41
4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