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지
견해
입장
각도
방면
방향
시각
스페셜
"
관점
"(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
2018.04.03
받기에 이르러 이들의 식단에서 탄수화물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를 생물학의
관점
에서 조명하는 글을 쓴 것이다. 인간의 게놈을 보면 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을 잘 소화할 수 있게 유전자가 마련돼 있다. 구석기인들, 즉 수렵채취인들은 거의 매일 수십 킬로미터를 걷거나 뛰는 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제공 표피와 진피는 어쩌다 보니 서로 얼굴을 맞대고 있지만 태생이 다르다. 즉 발생학의
관점
에서 표피는 외배엽에서 유래한 반면 진피는 중배엽에서 왔다. 문신 안료에 물든 진피세포가 시간이 지난다고 해서 표피로 넘어가 각질화돼 떨어져 나가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말이다. 따라서 ... ...
시간과 우주 수수께끼 풀러...스티븐 호킹 박사 별로 떠나다
2018.03.14
교류하며 블랙홀과 양자물리학, 상대성이론의 결합이 필요함을 인식했다. 이런
관점
에서 블랙홀의 특성에 접근, 블랙홀이 빛을 포함해 모든 것을 삼켜 버리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복사에너지를 방출한다는 주장을 폈다. 블랙홀과 양자역학을 양립시킨 이 연구는 호킹의 가장 중요한 업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연구원으로 일했고 평생 동안 모두 22편의 나비 관련 글을 발표했다. 오늘날의
관점
에서 기인이라고 볼 수밖에 없는 나보코프의 삶은 그의 소설보다도 더 소설적이다. 소설 '롤리타'의 작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공감각 소유자이기도 했다. - 위키피디아 제공 1899년 러시아제국의 부유한 귀족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
2018.03.10
영향 속에서 자라난다고 본다. 한 번 이러한 생각이 형성되면 이후 자신의 소망이나
관점
과 일치하는 정보만 쏙쏙 받아들이고 어긋나는 정보는 무시하며 기존의 그릇된 생각과 행동을 더욱 강화해 나가게 된다고 본다. 대다수의 성범죄는 ‘순간의 실수’가 아니라는 것이다. 아주 오랫동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없을 것이다. 입맛에 맞는 과학자를 찾은 것일 뿐 존스와 오펜하이머는 오늘날의
관점
에서 당시를 바라봐서는 안 된다고 지적한다. 즉 당시는 논문에 누가 돈을 댔는지를 언급하지 않는 게 관행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디언’ 기사에서 희생양으로 그려지고 있는 유드킨 역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레이첼 허즈 교수는 지난해 출간한 이 책에서 미각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를 참신한
관점
에서 재해석하고 있다. - amazon.com 제공 분필이나 점토 먹을 때 느껴지는 맛 책에 따르면 분필을 핥거나 점토를 먹으면 칼슘맛을 알 수 있다고 한다. 즉 ‘칼슘 같은(calciumy)’ 느낌과 함께 쓴맛과 신맛도 약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산체스 교수와 남가주대 칼렙 핀치 교수는 같은 학술지에 실은 해설에서 데이터를 다른
관점
에서 해석해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주기가 115년은 될 것으로 추정했다. 사람의 8년에 비하면 어마어마하게 긴 기간이다. 구글(칼리코)의 계획대로 벌거숭이두더지쥐의 노화 억제 비밀이 밝혀져 이를 사람에게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3
생화학과 교수는 “프랑켄슈타인은 신의 영역이였던 창조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
을 달리 볼 수 있게 만든 작품”이라며 “역사상 가장 많은 영감을 준 소설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를 발판으로) 프랑켄음식, 프랑켄세포라 할 수 있는 인공 물질이 탄생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편이 더 낫다”고 쓰고 있다. 논문의 저자들은 ‘항상성’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이라는
관점
에서 망각에 접근한다. 즉 경험을 통해 새로운 정보가 쏟아져 들어오는 상황에서 뇌는 디폴트 모드로 망각 메커니즘을 작동시켜 새로 획득한 기억을 천천히 지워나가며 내일 또 겪게 될 정보의 홍수를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