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식
대식
음식물
배부름
약탈
포획
탈취
뉴스
"
포식
"(으)로 총 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 날개, 긴 다리’ 섬 새 유행 예감
과학동아
l
2016.05.09
뛰어오르는 방법으로 에너지를 적게 들여 천천히 이륙한다. 라이트 박사는 “상위
포식
자의 숫자가 적은 섬일수록 이 같은 진화 경향이 두드러졌다”며 “섬에 사는 조류가 다양하게 진화할 가능성이 점점 줄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4월 1 ... ...
불에 뛰어드는 불나방, 이제는 옛말?
2016.04.23
‘빛 공해(light pollution)’는 야행성 곤충의 자연적인 낮밤주기를 깨뜨릴 뿐만 아니라
포식
자에게 정체를 노출시키기도 하고 그 열로 그들을 태워 죽이기도 합니다. 야행성 곤충이 인공 불빛에 죽을 확률은 깜깜한 환경에 있을 때보다 40배에서 100배가 더 높습니다. 하지만 이번 연구로 빛을 피하는 ... ...
깜놀! 노래부르며 식사하는 고릴라
2016.04.19
많이 불렀습니다. 그에 반해 암컷과 어린 개체들은 비교적 적게 노래를 불렀는데, 아마도
포식
자의 위협으로부터 안전을 지키기 위함이 아닐까 추정했습니다. 연구진은 노래가 고릴라 사회에서 어떤 사회적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닌가 추정했는데요. 우두머리를 포함, 성체 수컷 고릴라들의 노래는 ... ...
충격! 개구리 잡는 벌레 등장
2016.04.16
잡아먹는다고 합니다. 한 곤충학자와 연구진은 이 애벌레를 발견하고는 먹이가 어떻게
포식
자를 잡아먹는지 실험으로 알아봤는데요. 이 딱정벌레의 애벌레는 대부분 양서류(실험에서 개구리와 두꺼비를 사용)를 만나면 먼저 그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더듬이와 입 주변을 활발히 움직이는 한편 몸 ... ...
거미는 곤충만 먹는다는 편견을 버려!!
2016.04.14
물고기를 사냥하는 거미에 대한 80여 건의 자료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전형적인 곤충
포식
자로 알려져 있는 거미가 때때로 작은 물고기를 잡아 먹기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콜롬비아 쿤디나마르카 지역에서 발견된 물고기 먹는 거미 - Solimary Garcia Hernandez(플로스원) 제공 연구진의 ... ...
우리집 개의 눈 속에는 나침반이 있다?
2016.03.01
붉은원숭이, 게잡이원숭이가 이 단백질을 갖고 잇는 것으로 확인됐다. 생태계 상위
포식
자로 잘 알려진 호랑이나 사자 등 고양이과 동물에서는 이 단백질이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크립토크롬 단백질이 망막이 색깔을 인식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 단백질을 갖고 있는 걸로 확인된 ... ...
5억 년 전 알 품은 동물 찾았다
과학동아
l
2016.02.09
대폭발 기간에 절지동물의 보육방식도 다양해졌음을 의미한다. 카론 교수는 “왑티아가
포식
자나 환경 위협으로부터 자손을 지키기 위해 진화한 결과로 추정된다”며 “머리의 갑피가 알을 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2015년 12월 17일자에 ... ...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 ①
과학동아
l
2016.02.05
완벽한 육식동물이다. 꼭 기억하라. 당신이 고양이를 키우겠다는 건, (크기가 작은) 육상
포식
동물 한 마리를 집 안에 들인다는 의미다. ● 야생성 : 장난감, 너 부숴버릴 거야 학술지 ‘비교심리학’ 2014년 11월호에는 집고양이(domestic cat)와 고양이과의 다른 야생 동물들의 성격을 서로 비교분석한 ... ...
“저는 티라노사우루스 연구하는 재료공학자입니다”
2016.01.24
자란 뒤 번식을 하는 만큼 번식할 시간이 줄어든다는 단점이 있지만 몸집을 키워 최고
포식
자의 지위를 지켰기 때문에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원 교수는 자신의 수학 모델에 티라노사우루스, 알베르토사우루스 등 거대 육식 공룡의 데이터를 넣어 노화 패턴을 그린 뒤 ... ...
스텔스 기능 쓰는 갑오징어
과학동아
l
2016.01.10
밝혀졌다. 미국 듀크대 생물학과 크리스틴 비도어 연구원팀은 갑오징어가 상어 등
포식
자의 눈에 띄지 않기 위해 생체전기신호를 조절한다고 ‘영국왕립학회보B: 생물학’ 2015년 12월 2일자에 발표했다. 상어는 다른 동물들의 몸에서 나오는 미세한 전기장을 감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