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분
일환
부위
갑부
부호
부자
뉴스
"
일부
"(으)로 총 8,765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까지 전국 최대 120㎜ 가을비…20일 기온 '뚝'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젖어있는 상태에서 기온이 떨어지며 도로 표면이 결빙될 가능성 높다. 1000m 이상 높은
일부
산지에는 약한 눈이 내릴 가능성도 있다. 다음 주인 21, 22일 다시 비가 내린다. 20일 한반도에 영향을 줬던 차가운 고기압은 빠르게 동진하고 서쪽에서 다시 고기압이 확장한다. 이 두 고기압 사이에 또 ... ...
전기기기 발열 막는 단서 발견…테슬라 밸브 원리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흐르도록 통제할 수 있다. 테슬라 밸브의 작동 원리. 위의 그림에서는 흐르는 유체
일부
(빨간색)가 전체 흐름(검은색)을 막지만 아래 그림에서는 유체(파란색)가 방해 없이 흐른다. Cmglee/위키미디어 제공 연구팀은 90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 두께의 흑연 결정 내에서 수십 ㎛(마이크로미터, ... ...
[IAC2024] ‘중력 없어도 따르는 샴페인’…비우주기업의 우주산업 진출 전략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열린 국제우주대회2024(IAC2024) '플레너리 세션'이 진행되고 있다. 밀라노=김민수 기자 한때
일부
우주인들만 우주공간을 경험할 수 있었다. 아폴로 프로젝트 이후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보내지는 우주인들에 국한됐다. 그러나 민간인 우주여행 현실화, 유인 달·화성 탐사계획 구체화로 우주 공간 경험 ... ...
[사이언스영상] 스페이스X 초대형 로켓 회수 성공
SEIZE
l
2024.10.15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이스X가 로켓
일부
를 공중에서 회수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10월 13일 오전 7시 32분 경(현지 시간), 스페이스X 로켓 '스타십'의 첫 번째 추진체가 발사대로 돌아왔다. 121m 높이의 스타십 로켓은 이날 7시 25분 미국 텍사스 남부 스타베이스 기지에서 발사됐다. 스페이스X가 재사용 ... ...
재발 잦은 크론병, 합병증 줄이는 새 수술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델타형 스테이플링 문합술(DSA)’을 고안했다고 14일 밝혔다. 크론병 수술은 장의
일부
를 잘라내고 봉합해야 한다. 수술 부위가 넓어 바늘과 실로 하는 문합술보다 스테이플러를 이용한 문합술을 시행한다. 일정한 간격과 압력으로 봉합을 할 수 있어 조직 손상이 적고 수술시간이 줄어들어 ... ...
인공지능 이용해 신종 RNA 바이러스 7만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셀'에 발표했다. 세상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중 인간이 알고 있는 바이러스는 극히
일부
다. 캐나다 계산 바이러스학자인 아르템 바바이안은 "바이러스 수는 끝이 없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많다"면서 "바이러스를 많이 알수록 원인을 알 수 없는 질병을 보다 잘 치료하고 설명할 수 있다"고 11일 ... ...
[동물do감] 열 견디는 잠자리, 짝짓기에 유리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내열성이 뛰어나게 진화했다. 앞선 연구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일부
잠자리 종은 날개 색이 옅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열대 기후에 서식하는 잠자리 종은 날개 색을 밝게 만드는 대신 내열성을 높이는 방식을 택했다고 설명했따. 이번 연구를 이끈 리스 ... ...
대교협 "내년 의대 정원 못 바꿔…2026학년도는 사회적 합의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9시부터 2025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시작했고 그날 '의대 정원이 변경될 수 있다'는
일부
언론 보도가 있어 많은 수험생·학부모들의 문의가 있었다"고 당시 입장문을 낸 배경을 설명했다. 2026학년도 의대 정원 규모에 대해서는 " 사회적 합의가 있다면 이를 반영해 내년 5월 말에 또 (대입전형 ... ...
"AI 과대광고에 당했나"…노벨 과학상 몰아준 AI 둘러싼 논쟁 점화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중 2개를 AI가 휩쓴 것이다. 과학계가 AI의 혁신을 인정한 것으로 해석되지만 이번 수상에
일부
과학자들은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조나단 프리차드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천체물리학부 교수는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X에 "노벨이 AI 과대광고에 당한 것 같다"고 썼다. 그는 "말문이 막힌다"며 "나도 ... ...
"연구용원자로, 양자컴퓨터·소아백혈병 신약 등 첨단기술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있어 '꿈의 동위원소'라고 불리는 루테튬(Lu)-177을 활용한 치료가 최근 뜨고 있다"며 "
일부
국가는 치료가 허가됐고 한국도 허가가 오래 걸릴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정병엽 원자력연 첨단방사선연구소장은 "루테튬-177은 2022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전립선암치료제로 승인했다"고 덧붙였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