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필
저작
저술
작문
뉴스
"
쓰기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북아메리카 비둘기가 멸종한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식량이 되었을 뿐 아니라, 덫으로 잡은 비둘기를 풀어 두고 사냥 연습의 표적으로
쓰기
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행비둘기 개체는 1800년대 후반까지도 여전히 많았다. 하지만 이후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더니 급기야 얼마 지나지 않은 1914년, 지구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추고만 것이다. 이후 ... ...
미국의 금리 인상, 내 자산에는 어떤 영향을 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0.26
투자를 집중하는 것도 좋은 선택일 수 있다. 금융시장이나 경기의 변화에 일일이 신경
쓰기
어려운 직장인들이라면 더 그렇다. ☞ (함께 볼만한 기사) 퇴직 이후만 인생이 아니다 ... ...
고래 사이에 낀 새우 ‘페이코’가 쓰는 반전 드라마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7.10.20
처음이라고 한다. 고래 싸움에 등이나 터지지 않을까 했던 페이코가 반전의 드라마를
쓰기
시작한 것일까? NHN페이코 오보명 사업실장으로부터 페이코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NHN페이코 오보명 사업팀장 Q. 구글과의 제휴가 핫(Hot)하다. 어떻게 맺게 됐나? “원래 구글이 ... ...
북한의 EMP 공격 막을 수 있는 차폐소재,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0.20
기존엔 은이나 구리 등 금속을 차폐 재료로 활용했다. 하지만 초소형 전자기기의 기판에
쓰기
에는 상대적으로 무겁고 가공이 어려운 편이어서 미래 전자기기에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이 지난해 9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소개한 신소재 ‘멕슨(MXene)’은 금속이 ... ...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
과학동아
l
2017.10.06
있을 확률이 높다. 아마 초등학교 입학 전후에 칠판 글씨가 잘 보이지 않아 안경을
쓰기
시작했을 것이다. 이렇게 쉽게 짐작하는 이유는 근시가 그만큼 흔하기 때문이다. 서울에 사는 19세 남성의 96.5%가 근시라는 통계도 있다(doi:10.1167/iovs.12-10106). 근시는 대부분 태어날 때는 없다가 성장기에 ... ...
[WWDC 되짚어보기] 맥OS 하이시에라
2017.09.26
메모리 등 외부 저장 장치를 APFS로 포맷하면 시에라를 비롯해 이전 맥OS 기기에서는 읽고
쓰기
가 안 된다. ● 새로운 코덱 적용, 고해상도 시대 본격화 멀티미디어 파일 코덱에도 변화가 있다. 애플은 h.264 기반의 코덱을 오랫동안 활용해 왔다. 하지만 의외로 애플은 4k 콘텐츠 활용을 서두르지 ... ...
반짝반짝 눈이 부셔~! 나만의 네온사인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9.25
별을 그리기도 하고, 어린이과학동아 말풍선 안에 플라스크와 함께 ‘SCIENCE’라고
쓰기
도 했어요. 그리고나서는 그 위에 아크릴판을 대고 EL와이어와 절연테이프를 꼼꼼하게 붙인 뒤, 전원 스위치를 연결했어요. 불을 끄고 전원 스위치를 켜자 나만의 네온사인이 아름다운 빛을 발했지요. ... ...
소니 1000X로 돌아보는 '소음의 시대'
2017.09.23
되더군요. 최호섭 제공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 혹시 쓰고 계시나요? 저는 본격적으로
쓰기
시작한 게 이제 1년 조금 넘었습니다. 지난해 소니의 1000X 발표회 현장에서 발표 대신 구석에 앉아 이 헤드폰을 쓰고 ‘아무 소리도 안 듣고’ 있다가 그날 바로 예약 구매했던 기억이 납니다. 백 마디 ... ...
"내가 메이커가 된다면?" 메이커 입문자를 위한 팁 3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놓고 보면 세계 최대 수준이다. 2015년에는 19만 명 이상이 페어에 참석해 새로운 기록을
쓰기
도 했다. 올해는 11월 10일부터 12일까지 열린다. 미리 신청만하면 누구나 부스를 열 수 있기 때문에 한국 사람들도 종종 볼 수 있다. 올해는 우리나라 교육업체인 퓨처테크 아카데미와 함께 지난 반 년간 ... ...
한 번 뜨면 2주 이상 비행하는 성층권 드론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등에 주로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5배가량 용량이 크다. 흔히 구할 수 있는 황을
쓰기
때문에 제작비용도 저렴하다. 그러나 배터리의 수명이 짧은 것이 실용화의 걸림돌이다. 리튬과 황이 반응하면서 생기는 부산물이 내부에 쌓이며 쓰면 쓸수록 효율이 급속도로 떨어진다. 키네틱사는 이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